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사실상 확정 단계에 접어들었다. 11차 전기본에 포함된 신규 원전 2기 도입도 가시권에 들게 됐다.
11차 전기본에는 2037∼2038년 각 1.4GW 설비용량의 신규 원전 2기를 도입하는 방안이 담겼다. 이 안이 정부 내부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신규 원전 건설계획이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10년 만에 마련된다.
정부는 첨단산업 발전과 인공지능(AI) 수요 확대, 데이터센터 건설 등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신규 원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전기본은 2년마다 새로 마련되는 정부의 15년 전력수급 장기계획으로, 수급계획에 따른 발전 설비를 어떻게 마련할지 담겼다. 초안 격인 전기본 실무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정부안을 만들어 이날 상임위에 보고까지 마쳤다. 상임위 문턱을 넘은 만큼 21일 자체 전력정책심의회에서 전기본을 의결, 확정해 공고하면 한국수력원자력을 통해 부지 결정 절차에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1차 전기본(2024∼2038년)을 보고하면서 “전기본이 확정되면 절차에 따라 원전 건설 방안도 조속히 추진될 것”이라며 “한수원이 부지 선정 작업부터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규 부지 선정은 원전 특성상 주민 수용성이 중요하다.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아 방사성폐기물 처리 문제까지 지역 내 합의가 중요하다. 현재는과거 원전 건설이 추진됐다가 취소된 경북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 부지가 후보지로 유력하게 거론된다. 천지 1·2호기 부지는 사업 진척도와 주민 수용성이 높았던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한수원은 “신규 원전 부지 확보와 관련해 한수원이 우선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지역은 없다”며 “향후 안전성, 환경성,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자체 자율유치 등을 통해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전 외에도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무탄소 전원을 중심으로 11차 전기본은 구성됐다. 지난해 39.1%인 무탄소 전원 비중은 2030년이면 53.0%로 과반이 되고 2038년이면 70.7%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설계됐다.
정부는 전력 수요가 연평균 1.8%씩 빠르게 증가해 2038년이면 목표 전력 수요가 129.3GW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1.4GW), 데이터센터(4.4GW), 수소환원제철 도입과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한 산업 전환 및 일상의 전기화(11GW) 등이 전력 수요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반영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