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신뢰 위해 다양한 종목 재개 필요”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 가능성 시사

이복현(사진) 금융감독원장이 다음달 31일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새 전산시스템으로 99%의 불법 공매도를 막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다양한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가 필요하다”며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원장은 2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과거 문제가 됐던 무차입 공매도 건들은 새 시스템을 통해 99% 가까이 막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은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지난달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 구축을 완료했다. 공매도 거래의 대차(주식대여)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무차입 공매도를 탐지해 방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원장은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별도의 결정이 없는 한 3월31일에 공매도는 재개되는 것”이라며 “금감원은 금융위에 거래소 준비가 적절한지 등을 다음 달 중 보고해 추가적 공매도 금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공매도가 가능한 종목 범위에 대해 “우리 주식시장의 퇴출 등 평가제도가 미비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비우량한 이른바 좀비기업들과 관련해 공매도 전면 재개가 부담스러운 것 아니냐는 지적도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변동성을 줄이되 해외나 개인투자자들에 한국 시장과 관련한 신뢰를 얻는 관점에서 생각한다면 다양한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2023년 11월6일 모든 주식시장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한 바 있다. 당시 전면 금지 조치 직전에는 코스피200지수와 코스닥150지수에 포함된 350개 종목에 한해 공매도가 가능했는데, 이 원장의 답변은 이보다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원장은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글로벌 민관협력 체계인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 출범을 중심으로 증시 인프라 혁신과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역량을 집중,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