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김정은 직접 대화 가능성 커
韓 대통령과 관계 구축에 달려 있어”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종전협상처럼 한국도 북·미 대화 재개 시 패싱당할 우려를 느낄 것이라고 전직 주한 미국 대사가 전망했다.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 대사는 19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 석좌가 진행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차 석좌가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종전 논의를 한 것을 한국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묻자 한국도 패싱당할 거란 우려가 있다는 대답을 내놨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트럼프가 대서양(유럽)과의 관계를 다소 경시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것으로 본다”며 “왜냐하면 그는 태평양에 집중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서울 패싱’에 대한 불안이 상당히 클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처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며, 전날 미·러 고위급 회담에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가 참여하지 못한 것처럼 북·미 정상 간 대화가 시작될 경우 정작 안보 위협의 당사국인 한국이 배제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서울 패싱’ 여부는 아시아 정책을 담당하는 미 행정부에 누가 있는지도 중요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반적으로 지난 수십년간 미국에서는 동맹에 대한 초당적 지지가 깊어지고 있다”며 “이러한 제도적 틀이 (트럼프식 외교의) 비전통적 스트레스와 긴장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에 시급한 문제로 관세 이슈를 꼽기도 했다. 한국산을 포함한 외국산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도 사례로 들었다. 또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시행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에 따라 한국 기업이 미국에 대규모로 투자한 것을 언급, “트럼프 행정부가 이들 법안과 기타 법안에서 제시된 몇 가지 이니셔티브를 이행하는 데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