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당일 모임은 헌법상 국무회의”
국회측 “계엄 전 대국민담화 방송 예약
尹, 국무회의 소집할 생각 없었던 것”
韓 “제가 증거도 없이 속단 어려워”
조지호, 檢조사 사실대로 진술 인정
국회의원 체포 지시에는 답변 피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이 열린 20일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선포 요건과 적법성 등을 두고 다시 한 번 맞붙었다. 윤 대통령 측은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로 국정 운영이 어려워졌다’는 점을 강조했고, 국회 측은 ‘비상계엄 선포가 국무회의를 건너뛰고 이뤄졌다’는 등 절차적 하자 문제를 부각했다. 국회의원 체포 지시 여부를 두고도 공방을 벌였다.

한 총리는 이날 증언석에 나와 거대 야당의 일방적 예산삭감·법안 통과와 정부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가 반복된 점에 대한 부담을 토로했다. 한 총리는 “영국의 마거릿 대처 전 총리는 포퓰리즘과 절대적인 다수결(의존)이 민주주의를 망친다고 했다”고 했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언급한 야권의 ‘줄 탄핵’에 대해서도 “헌법·법률의 중대한 위반으로 탄핵해야 할 텐데, 이번 정부 탄핵 소추 29건 모두 그런지 정치권이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측은 한 총리를 상대로 12·3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의 적법 여부를 따졌다.

윤 대통령 측은 당일 모임이 헌법상 국무회의였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회 측은 안건·회의록·부서 등이 없어 국무회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는 등 헌법 위반이라는 입장이다.
한 총리는 검찰 조사에선 “개의를 한다든지 종료 선언 등의 절차가 없었다. 간담회 정도 되는 것 같다”고 진술했지만, 이날엔 “수사를 통해 판단할 사안”이라고 말을 아꼈다.


한 총리는 “형식적·실체적 흠결이 존재하지만 국무위원이 모였고 걱정과 우려를 했다”며 “이것이 국무회의인지, 심의인지는 개인이 아닌 국가기관이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국가비상사태 등 계엄 선포 요건에 대해서도 “헌재가 현명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국회 측이 “10시에 대국민담화 방송을 예약한 거로 봐서 국무회의를 소집할 생각이 없었던 것이 명백해 보인다”고 질의하자, 한 총리는 “대통령 생각을 제가 증거도 없이 속단해서 말하기 어렵다”고 피해갔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부정선거 의혹 규명을 꼽은 것과 관련해선 “윤 대통령이 당시 정상적 국정 운영이 어려워서 비상계엄 선포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부정선거) 내용을 언급한 거 같진 않다”고 했다.

이번 탄핵심판의 ‘키맨’으로 꼽힌 조지호 경찰청장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마지막 증인으로 섰다. 그는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고 말했다”, “이후 5차례 같은 내용, 같은 톤으로 지시했다”,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메모하라며 사람 이름을 불렀는데 이재명·우원식·박찬대 등이 포함됐다”. “여 전 사령관이 한동훈 추가라고 급하게 짧게 이야기했다”고 말하는 등 국회의원 체포 지시 정황을 뒷받침하는 증언을 쏟아냈다.
조 청장은 이날 증인신문에선 “검찰 조사 당시, 사실대로 말한 것이 맞는가”란 국회 측 질문에 “각 조서별로 다 그렇게 날인했다”고 답하면서도 국회의원 체포 지시 등 구체적인 국헌문란 행위에 대한 질문에는 형사 재판을 이유로 답을 피했다.
조 청장은 다만 비상계엄이 해제된 후 윤 대통령이 전화해 ‘덕분에 신속히 잘 끝났다’고 말한 데 대해 “질책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신속하게, 덕분에 신속히 잘 끝났다. 이런 말씀을 하신 건 맞다”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