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요양·주거 등 5개 분야
2026년부터 전체 자치구로 확대
서울시가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단 한 번의 신청으로 필요한 돌봄지원을 계속 받을 수 있는 통합돌봄서비스를 도입한다.
시는 이같은 내용의 ‘서울형 통합돌봄’을 추진하면서 올해 4개 자치구의 ‘통합돌봄지원센터’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모든 자치구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계획을 20일 밝혔다.
예산은 올해 약 1억원이 배정되며 전문기관 컨설팅이 지원된다. 이 사업은 대상자에 대한 방문진료·병원동행, 식사배달·방문 간호 등 긴급 지원부터 신체·마음건강 관리 등 장기적 일상 지원까지 대상자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하는 패키지형 지원이다.
본인이나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대상자와 심층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원스톱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동주민센터 소속 ‘통합돌봄관리사’가 직접 대상자 가정을 방문해 필요한 지원을 파악한다. 단기·단편적 돌봄이 시급할 경우엔 즉시 서비스를 연계하고, 중장기·복합적 처방이 필요하다면 자치구에 설치된 센터로 연계해 통합돌봄을 지원한다.
통합돌봄은 △보건의료 △건강 △요양 △돌봄 △주거 등 다섯 분야를 핵심으로 연계·제공된다. 의료진 방문진료 서비스, 신체·마음 건강 돌봄서비스, 방문목욕·간호 등 장기요양서비스, 일시재가, 단기시설 입소 등 ‘돌봄SOS’서비스, 1인가구 주택관리서비스 등이 지원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