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터키, 호주 등 5개국 협의체인 믹타(MIKTA) 회원국들이 주요20개국(G20) 외교장관 회의를 계기로 모여 북핵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G20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한국은 현 믹타 의장국인 멕시코를 이어 의장국을 맡는다.

조태열 장관이 G20 외교장관 회의가 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20일(현지시간) ‘제27차 믹타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했다고 외교부가 21일 밝혔다. 믹타는 유사한 입장과 가치를 공유하는 중견국들이 국제사회 현안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 주도로 2013년 9월 출범했다.
이번 회의에서 조 장관은 믹타 회원국들과 최근 세계정세 속에서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1년간 의장국으로서 한국의 활동 방향 등을 소개했다. 그는 또 의장국 수임 기간 중 ▲평화구축 ▲청년 역량 강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가속화를 중점의제로 선정하고 활동해 나갈 계획을 전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불법 무기 지원 및 파병 등 러·북 간 군사협력이 우크라이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고 있다”며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복귀하도록 믹타 회원국들이 함께 촉구해달라”고 요청했다. 회의에 참석한 믹타 장관들은 가자 사태, 우크라이나 전쟁, 시리아 상황, 북한 문제를 포함한 국제 현안 대응 의지를 강조했다고 한다.
이들은 또 민주주의·국제법·다자주의 증진 등 믹타 핵심 원칙을 재확인하는 공동 코뮤니케를 채택했다. 특히 회원국들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중대한 우려를 표하고,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평화적으로 이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주목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