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 중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올해 연도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2월 중 확정·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하는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국가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80% 수준까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올해 3.8%) 범위 내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높은 경계 의식을 갖고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참석자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 비율이 2004년 이후 17년 연속 상승하고, 특히 코로나19 기간 급등해 2021년 말 98.7%까지 치솟았으나 2022년 이후 3년 연속 하락해 90%대 초반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다만 최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수준 이상으로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말(1914조3000억원)보다 13조원 많고,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