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첨단벤처단지 운영 수탁기관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심사 공정성 논란으로 인해 수탁기관 선정을 취소했다.
전주시는 첨단벤처단지 운영 수탁기관 모집 취소를 공고하고 향후 새로운 심사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전주첨단벤처단지는 전주시가 전북대학교와 협약을 맺고 팔복동 일원 2만6500여㎡ 부지에 181억원을 들여 2001년 조성했다. 단지는 창업동, 벤처동 등 9개동(연면적 3만1482㎡)과 기업 지원 장비 13종(38억5000만원 상당)을 갖추고 있으며, 민간 위탁을 통해 운영·관리하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해 11월 29일 민간 위탁기관 선정 심사위원회를 열어 차기 수탁기관으로 전주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발전협의회(JVADA)를 선정했으나, 탈락한 경쟁 업체들이 평가 방식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기존 공모와 달리 기업 유치 경험 등 자격 요건이 삭제됐고, 전문성과 기술인력, 장비, 재정적 부담 능력 등 정량평가 항목이 제외되면서 심사위원들의 주관에 의존한 정성 평가만 이뤄졌다는 지적이었다.<세계일보 2024녖 12월 3일자 12면 보도>
특히 경쟁 업체들은 JVADA의 조직 규모와 위탁 사무 수행 실적, 국가·지방 연구개발(R&D) 과제 유치, 산학연 공동 연구개발 지원 실적 등이 자신들과 비교해 현저히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특정 업체 밀어주기”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전주시는 당초 “참여 폭을 넓히기 위해 자격요건을 변경했다”며 “절차에 문제가 없었고 평가 결과도 심사위원들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예정대로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겠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시는 논란이 확산하자 결국 수탁기관 선정을 취소하고 재공모를 통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한 새로운 평가 방식을 도입하겠다고 입장을 선회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평가 기준을 바꾸지 않으면 기존 업체만 계속 참여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기에 심사 방식을 달리했으나, 공정성 논란이 제기된 만큼 심사 기준을 보완해 공모 절차를 다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