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철강·조선업계 희비 갈려

입력 : 2025-02-24 06:00:00 수정 : 2025-02-23 22:18:06

인쇄 메일 url 공유 - +

1~2개월 내 최대 38% 관세 가능성
조선 “제품 가격 올라 경쟁력 저하”
철강 “中 시장질서 왜곡 막아” 안도
하반기 후판값 협상 아직 진행 중

정부가 중국산 철강 후판에 최대 38%의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잠정 결정한 데 대한 업계별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철강업계는 한숨을 돌렸다고 안도했지만 철강 제품을 이용해 완제품을 생산하는 업계는 단가 상승을 걱정하는 것이다.

지난 17일 경기 평택항에 철강 제품들이 쌓여 있다. 뉴시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20일 중국산 후판의 덤핑 행위로 인해 국내 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27.91~38.02%의 예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기재부가 이를 받아들이면 1~2개월 내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철강 제품으로 선박 건조를 비롯해 교량, 플랜트, 해양 구조물, 송유관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된다. 국내 철강업계는 그동안 중국산 후판이 저가 공세를 펼치면서 시장 질서를 왜곡시키고 수익성을 악화시켰다고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왔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인건비 상승 등으로 가격 압박을 받고 있는데, 중국산 철강에 관세까지 부과되면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이번 조치는 궁극적으로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와 선박 수주 물량이 감소하고 오히려 후판 사용이 줄어드는 등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23일 말했다.

지난 17일 경기 평택항에 철강 제품들이 쌓여 있다. 뉴시스

조선 기자재 업계 관계자는 “공교롭게 시기가 미국의 중국 견제에 맞춰 중국산 철강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며 “최근 중국과 관계가 좋아지고 있는데 중국에서 한국 제품에 세금 등을 부과해 맞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우려된다”고 밝혔다.

 

반면 철강업계 관계자는 “시장 논리에만 맡기기에는 중국에서 과잉생산한 철강을 처리하기 위해 가격 덤핑을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산 후판에 대한 관세가 확정될 경우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간 후판 가격 협상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철강업계와 조선업계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후판 가격을 협상해 정한다. 양측의 후판 가격 협상은 2023년 하반기 t당 90만원 중반대에, 지난해 상반기 소폭 인하된 90만원 초반대에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진행 중인 지난해 하반기 후판 가격 협상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값싼 중국제 후판으로 국내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었던 철강업계는 이번 정부의 조치로 추후 90만원 중반대 회복을 바라고 있다. 조선업계는 가격 인하 또는 동결을 요구하는 중이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여자)아이들 소연 ‘매력적인 미모’
  • 하츠투하츠 유하 '신나는 무대'
  • 하츠투하츠 이안 '매력적인 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