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2000원 ‘초저가’ 상품이라도
절약하려는 소비 경향 두드러진 듯
최근 경기 불황과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초저가 상품과 중고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다이소몰과 당근 앱 이용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생활비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1000~2000원짜리 초저가 상품이라도 절약하려는 소비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업체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다이소몰 이용자는 362만명으로, 전년 동월(214만명) 대비 69% 증가했다. 2021년 2월 142만명에서 2023년 2월 100만명까지 감소했던 다이소몰 이용자 수는 지난해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고 거래 플랫폼인 당근 앱 이용자 수도 2216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80만명) 대비 7% 늘었다. 당근 앱은 2022~2023년 동안 1900만명대의 이용자를 유지했으나,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이용자 수가 급증했다. 지난달 다이소몰과 당근 앱 이용자 수는 각각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이소몰과 당근 앱 이용자가 급증한 것은 불황형 소비 패턴이 확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5000원 이하 균일가 제품을 판매하는 다이소는 대표적인 불황형 소비 채널로 꼽히며, 합리적인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다이소몰은 지난달부터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일부 지역에서 ‘오늘배송’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며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오후 5시 이전에 주문하면 인근 매장에서 상품을 준비해 당일 배송하는 방식으로, 전국 1500개 이상의 점포를 기반으로 퀵커머스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이소몰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도 거래 품목을 대폭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단순한 중고 거래를 넘어 중고차 직거래, 부동산 직거래, 과외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면서 이용자 증가를 가속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가격을 가장 중요한 구매 기준으로 삼고 있다”며 “초저가 제품과 중고 거래 시장의 성장은 이러한 소비 패턴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합리적인 소비를 중시하는 트렌드가 강해지면서, 초저가 제품을 전문으로 하는 플랫폼과 중고 거래 앱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차별화된 가격 경쟁력과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