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통제기 사업도 상반기 기종 결정
比·말련도 대함미사일·자주포 등 보강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도 유럽 못지않은 군비 증강이 한창이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둘러싼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 간 갈등에 미·중 전략 경쟁, 북한 위협 등이 맞물리면서 무기 도입 사업이 지속되고 있다.
미국에서 F-35A 스텔스 전투기, P-8A 해상초계기(사진), MH-60R 해상작전헬기, 이지스 전투체계 등을 구매했던 한국은 앞으로도 미국산 무기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2031년까지 약 3조원을 들여 신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도입하는 항공통제기 2차 사업은 올해 상반기 중 기종 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미국 보잉 E-7이 유력하다. E-7은 한국 공군이 쓰는 E-737 조기경보기의 성능을 높인 것이다. 2031년까지 3조7000억원을 들여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10여대를 국외 구매로 확보하는 사업은 보잉의 CH-47 개량형과 미국 록히드마틴 CH-53K가 경합하고 있다.
필리핀은 2022년 인도에서 3억7500만달러(5454억원) 규모로 브라모스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도입했다. 12대를 운용 중인 한국산 FA-50 경공격기는 12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잠수함 2척과 다목적 전투기 40대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산 잠수함과 KF-21 전투기 판매 가능성이 제기된다. 말레이시아도 슬로바키아 또는 프랑스에서 차륜형 자주포를 도입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싱가포르는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이 만든 218형 잠수함 2척을 도입하고, 신형 해상초계기를 구매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후보 기종으론 보잉 P-8A와 유럽 에어버스 C-295가 거론된다. 이와 함께 신형 다목적 전투함 6척 건조 사업도 이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튀르키예에서 드론을 확보하려 하고 있으며, 일본과 군함을 공동개발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또한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에 원양초계함(OPV) 2척을 발주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