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동제어 감소·비도덕성 증가
억압당한 자 뇌는 무기력 빠져
권력남용 폐해 항상 경계해야
뇌과학자와 심리학자들이 ‘권력’을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이 실험적으로 어떠한 대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개념의 정의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뇌과학자와 심리학자들이 정의하는 ‘권력’은 ‘다른 사람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다. 우리는 언제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어떠한 순간에 한 사람이 또는 어떠한 집단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모두 우리의 뇌 안에서 ‘권력’이 만들어지고 주어지는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정치학자나 사회학자들이 ‘권력’의 구성 요소로 규정하는 재력이나 군사력, 정치력 역시도 결국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들이다. 이 수단들을 어떻게 쓰면 좋은지에 대해서는 16세기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쓴 ‘군주론’이 자주 언급된다. 마키아벨리적 ‘권력’의 핵심에는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무력, 거짓을 이용해 상대를 속이는 기만,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무자비함, 그리고 전략적인 폭력의 사용이 있다. 이는 이후로 수백년 동안 많은 사람이 전쟁이나 사업 현장에서 권력을 쟁취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자주 인용되어 왔다. 타인을 짓밟고 올라서기 위한 수단으로써, 더 약한 자를 억압하기 위한 도구로써 ‘권력’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는 이런 관점이 지금 현재에도 통용될 수 있을까?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대의과학연구센터(Greater Good Science Center)’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 대커 켈트너(Dacher Keltner) 교수는 자신의 책 ‘선한 권력의 탄생: 1%가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권력 사용법’에서 수십년 동안 현대과학으로 연구해 온 ‘권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우리는 삶 속 여러 순간 속에서 늘 결정을 내려야 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시스템 속에서 ‘권력’은 쟁취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주어지는 것이고, 공동체의 최대 선을 증진시킬 때, 서로에게 공감과 나눔을 실천할 때 증폭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권력’은 ‘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능력 또는 심리 상태’라고 정의되는데, 이는 지배와 핍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선을 위해 노력할 때 만들어진다고 강조한다.
다만 문제는 ‘권력 남용’이다. ‘권력 남용’은 우리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무시하고 타인에 대한 관심을 거두면서 이기적이고 근시안적인 행동을 취하게 되면서 일어나는데, 이때 우리의 뇌 자체가 변화하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누군가에게 ‘권력’을 부여했을 때 이를 남용하는 사람의 뇌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충동 제어’ 능력의 감소와 ‘이기성’ 및 ‘비도덕성’의 증가인 반면, 잘못된 ‘권력 남용’을 경험하는 사람의 뇌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졸 분비의 급격한 증가와 ‘불안’ 및 깊은 ‘무기력증’의 발현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켈트너 교수의 연구 중에는 ‘습득된 반사회성’에 대한 연구들이 큰 의미를 가지는데, 교통사고나 낙상 등으로 전두엽 부위에 갑작스레 외상을 입게 되면 원래 바르고 친절하던 사람이 갑자기 제 잇속만 차리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자’로 바뀌는 현상이다. 공감과 자아 성찰을 관장하며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게 해주는 전두엽 영역의 기능을 사고로 상실한 이들은 성희롱을 하고, 아이들에게 욕하고, 함부로 타인의 물건을 훔치고, 그러면서도 자신의 행동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그런데 켈트너 교수는 권력과 특권을 자각한다는 것은 이렇게 전두엽 영역에 외상을 입은 사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영향력은 타인에게서 주어지는 것이기에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공감하면서 사용해야만 하는 것인데, 타인에 대해 생각을 하지 않게 되는 순간 ‘권력’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충동적, 비도덕적 행위를 정당화하도록 만드는 것’이 된다.
‘권력 남용’의 가장 큰 폐해는 사람들을 무기력하게 만든다는 데 있다. 불합리한 ‘권력’의 남용과 오용의 결과는 사회적 빈곤, 불평등, 성과 인종, 종교에 따른 다양한 차별로 나타난다. 이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뇌 안에서는 우울과 불안, 분노조절 장애가 늘어나며, 공동체의식이 결여되고, 온갖 종류의 위험에 대해 더 민감해지고, 스트레스 호르몬의 과분비가 일어난다. 또한 우리의 뇌가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고 밝고 희망찬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뇌의 능력을 마비시킨다. 그래서 ‘권력 남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막아야만 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모두 한 사람 한 사람이 ‘권력’을 지니고 있는 주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권력 남용’의 불합리로 생겨난 무기력감을 이겨내고 ‘권력’의 본질은 ‘타인에게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힘’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장동선 궁금한뇌연구소 대표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