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서해 남포 지역에서 건조 중인 새 군함에 미사일 수십대를 동시에 탑재할 수 있는 수직발사대를 장착할 것 같다는 관측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제임스마틴 비확산연구센터(CNS) 연구원인 제프리 루이스는 지난달 말 남포의 군함 건조 현장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했다. 그는 갑판 위에서 미사일 50기 이상을 받치기에 충분한 (발사대) 크기의 구멍들이 보였다면서 “전방에 (미사일) 32기, 후방에는 그보다 좀 적게 배치하는 것이 매우 합리적인 숫자라고 생각한다. 아니면 훨씬 적은 수의 탄도미사일이 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은 작년 12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새 함정 건조 현장을 방문한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남한 군 당국은 이 함정이 남포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4000t급 호위함이며, 수직발사대를 갖춰 함대지 미사일 장착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했다. 수직발사대가 있는 군함은 더 많은 미사일을 운반할 수 있고, 함대지 미사일 발사와 재장전이 훨씬 쉬워진다.
루이스 연구원은 북한이 수직발사대와 호환되는 여러 유형의 미사일을 개발했지만, 이전에는 어떤 함선에도 이들 미사일을 배치한 적이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자원이 제한된 북한은 한국, 미국과의 전쟁 억제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핵무기에 투자했었기 때문에, (주변국은) 재래식 군사력 증강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수직발사대를 갖춤에 따라 미사일 수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북한의 대함 미사일이 저렴해서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그 미사일이 검증된 수직발사대 시스템에 탑재됐을 경우엔 훨씬 더 마음에 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