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휘트머 주지사에 “연방정부와 가교 역할…혁신동맹 파트너” 당부
“자동차 산업과 소비자에 부정적 영향”…평택항 비상경제회의 후속조치
미시간주에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美 완성차 본사 둥지 틀어
자동차 관련 기업만 880개가 몰려있는 경기도의 김동연 지사가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미시간주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에게 3일 협력 서한을 보냈다. 도내 자동차 산업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자동차 관세에 함께 대응하자”는 내용을 담았다.

‘자동차의 도시’ 디트로이트를 품은 미시간주에는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의 미국 ‘빅3’ 완성차 본사가 둥지를 틀고 있다. 경기도는 2011년 미시간주와 우호 협약을 맺은 뒤 첨단산업 등의 분야에서 신뢰 관계를 유지해 왔다. 미정부는 이날 오전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발효했는데, 다음 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도내 자동차 관련 기업은 화성, 시흥, 안산, 평택에 집중됐고 이곳에서 일하는 근로자만 7만2000명이 넘는다.
김 지사는 서한에서 “자동차 관세는 경기도뿐 아니라 미시간주 자동차 산업 및 소비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 지역 기업들이 그동안 쌓아온 신뢰와 협력을 토대로 계속해서 상생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시고, 연방정부와 가교 역할을 해주신다면 양국 간 신뢰와 협력의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주지사께서 한국 수출기업들의 어려움에 대해 미시간주 기업들에 알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경기도는 미시간주의 혁신동맹 파트너로서 미래차 산업과 첨단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지난달 31일 평택항에서 자동차 수출기업들과 가진 비상경제회의에선 경기도의 관세 협상창구 마련 요청에 “주요 자동차 기업 본사가 미시간주에 있는데 주지사와의 인연을 활용해 방법을 만들어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김 지사는 2023년 4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를 방문해 휘트머 주지사에게 첨단산업 분야의 혁신동맹을 제안했고, 휘트머 주지사는 지난해 3월 경기도를 답방해 두 지자체의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한편 경기도는 미정부의 통상 압력에 노출된 도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잰걸음을 치고 있다. 지난달 중순에는 도 통상환경조사단이 미 조지아주를 방문했다. 조지아주는 2010년 기아차 공장 가동 이후 도내 관련 기업 70여개가 동반 진출한 곳이다. 최근 현대차가 이곳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준공하기도 했다.
경기도 측은 조지아주 정부에 현지에 진출한 도내 기업들의 어려움을 전달했고, 조지아주 정부는 한국 기업들의 사업 확대를 돕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경기도는 자동차 분야 관세 피해 중소기업에 500억원 규모의 긴급 특별경영자금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6월에는 도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을 미국에 파견하고 맞춤형 컨설팅도 이어갈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