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관세전쟁’을 본격화한 영향 속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국제 금 가격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글로벌 무역 위축으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면서 국제 원유 가격은 하락했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현물가격은 0.6% 오른 트로이온스당 3129.46달러를 기록했다. 금 가격은 장중에 1%가량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금 선물도 0.6% 상승한 3166.20달러에 마감했다.

관세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금을 자산 피난처로 선택하는 수요가 더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의 대규모 매입과 아시아 지역 수요 증가로 큰 폭 올랐던 국제 금 가격은 올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영향 속 불과 3개월여 만에 19%나 상승한 상태다.
이런 금 가격의 지속적 상승은 산업용 금속인 구리 가격의 출렁임과 확연히 비교된다. 이날 구리 가격은 관세 우려에 장중에 2.2% 급등했다가 상호관세 면제 소식이 확산되며 하락세로 반전, 0.6% 떨어졌다. 결국, 전날 대비 0.1% 상승한 가격에 마감했다. TD 증권의 상품 전략 글로벌 책임자 바트 멜렉은 “관세는 구리 가격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철강과 알루미늄, 금, 구리 등은 이번 상호관세 부과 적용에서 제외돼 가격 상승 부담이 줄었다.
국제유가도 산업 위축 전망 속 하락 중이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뉴욕 시간 2일 오후 4시59분 기준 배럴당 70.73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종가 대비 1.4% 하락한 가격이다. 미국의 최대 원유 공급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의 경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상호관세가 면제되면서 수입업자나 소비자들의 우려를 덜었다. 레이몬드 제임스의 파벨 몰차노프 애널리스트는 “관세는 글로벌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변수가 없다면 석유 수요에도 타격을 준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