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90% 이상에 달할 정도로 완치율이 높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 위암 환자 발생률은 매년 10만 명당 50~60명 정도로 미국 위암 발생률의 약 10배다. 재발률 역시 20%로 매우 높은 편이다. 진행돼 발견된 위암은 위절제술과 함께 항암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재발률도 높아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조기 위암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거나 매우 경미해서 알아차리기 힘들다. 민사홍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암이 진행되더라도 자각 증상이 없을 수 있다"면서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서 소화불량, 복통, 속 쓰림, 구역질, 구토, 복부 불편감, 흑색변, 토혈,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과 같은 양성 질환의 증상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위암은 오랫동안 위 점막이 지속적으로 손상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암물질에 의한 자극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암의 주요 발생 요인은 식습관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다. 단백질·지방보다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식사, 검게 태운 음식, 소금에 오랫동안 절인 음식 등도 관련이 있다.
위암도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복부 절개 없이 내시경만으로 암 병변을 절제해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지만, 일부 조기 위암 환자에서만 가능하다. 국내 위암 환자의 약 40%가 이 시술로 위암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조직학적으로 분화도가 좋고, 크기가 작은 점막에 국한된 조기 위암의 경우만 해당된다. 이 경우 외에는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다만 시술 후에도 병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로 완전 절제가 가능한 진행성 위암은 수술로 병소를 완전히 절제한 후 병기가 2기 이상이면 추가 항암치료를 하는 게 원칙이다. 만약 수술로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성 위암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암은 수술은 할 수 없고 항암 치료를 한다. 드물지만 항암 치료 효과가 매우 좋아 전이 병변이 사라진 경우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과 항암 치료를 병행해도 조기 위암에 비해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암세포는 림프절 또는 혈관을 따라 퍼지는 성질이 있어 주변 혈관과 림프절을 광범위하게 절제해야 한다. 위 절제는 일반적으로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십이지장의 위쪽 유문부부터 시작해 위암 위치에 따라 절제 범위가 달라진다. 병변이 위 하부에 위치하면 위의 약 60%를 절제하고, 남아있는 위에 십이지장 또는 공장(십이지장 하부 소장)을 연결시켜준다.
병변의 위치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절제되는 위의 범위가 늘어나는데, 위의 가장 상부 쪽에 있는 암은 식도 일부를 포함한 위 전절제를 하게 된다. 위 전절제술은 남아있는 위가 없기 때문에 공장을 길게 끌어올려 식도에 연결시켜야 해 수술 시간도 길고 매우 까다롭다. 남아있는 위가 많을수록 음식물의 저장 기능과 소화 기능이 보존되기 때문에 위 전절제술보다는 위 하부 절제술이 수술 후 환자들의 삶의 질이 더욱 좋다.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위암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먼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골고루 섭취하고 가능하면 싱겁게 먹는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고기나 생선을 검게 태우거나 소금에 절여 먹지 말고,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자주 먹어야 한다. 방부제 등 화학물질이 첨가된 식품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민 교수는 "40대 이후부터 위암 발병률이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에 40대 이후라면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적어도 2년에 한 번 위장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게 좋다"면서 "만성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과 같은 소견이 있는 위암 고위험군은 매년 위내시경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