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이 임진왜란 당시 치러진 ‘웅치전투’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교육·문화자원으로 활용한다.
완주군은 국가유산 정책 일환으로 웅치전투와 관련된 역사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개발해 국민에게 호국정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웅치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조선 의병과 관군이 연합해 전주 진격을 시도한 왜군을 완주에서 저지한 대표적인 승전 사례다. 2022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돼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완주군은 이런 역사적 자산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2월에는 완주군 소속 국가유산 전문 인력이 완주인재육성재단의 ‘중국어 캠프 프로그램’과 연계해 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역사교육’을 통해 웅치전투의 의의와 교훈을 전달했다.
또 3월 발간된 완주교육지원청의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교재’ 개발 과정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웅치전투를 포함한 지역 역사 자원이 교재에 반영되도록 했다.
이 밖에도 국가유산청 공모 사업에 선정된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을 통해 학생과 일반인들이 웅치전투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과 더불어 대중 홍보도 강화한다. 웅치전투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국민이 더 쉽고 흥미롭게 완주의 호국 역사를 접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웅치전투는 우리 민족의 강인한 호국정신을 상징하는 사건이자 지역 정신”이라며 “국가유산을 적극 활용해 국민이 자연스럽게 역사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