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7일 최근 물가 상승의 요인이 된 식품 가격 인상과 관련해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 있는지 철저히 감시하라”고 간부들에게 지시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열린 긴급 국무위원간담회와 경제관계장관회의 지시 사항을 직원들에게 전달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 위원장은 “회의에서 최근 물가 상승으로 국민 생활이 어렵고 힘든데 (식품업계) 가격 인상이 담합 등으로 인한 것인지 공정위가 관심을 가져달라는 말씀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한 위원장의 이 같은 주문은 올 들어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세가 거세지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정부 리더십 공백, 탄핵 정국 장기화에 최근까지 식품·외식 기업 약 40곳이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다.

가격 인상 흐름은 정부 공식 통계에도 반영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커피와 빵이 각각 8.3%, 6.3% 오르며 가공식품 물가 전체를 끌어올렸다.
최근 몇 달 사이 CJ제일제당, 대상, 동원F&B, 롯데웰푸드, 오뚜기, 농심, SPC삼립, 오리온 등 식품 대기업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이달 초에도 라면(오뚜기), 맥주(오비맥주), 햄버거(롯데리아) 등의 가격이 인상됐다. 가격을 올리지 않은 품목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외식(3.0%)도 2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주요 식품·외식 기업들이 잇따라 출고가를 인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식품업계의 가격 줄인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주요 식품 업체들이 탄핵 정국으로 시장에 대한 정부의 통제력이 약해진 상황을 노려 앞다퉈 가격 인상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고환율·고유가와 이상 기후로 인한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 기조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커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달 28일 성명을 내고 “기업들의 도미노 가격 인상은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