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거대 양당의 사생 결단 정쟁으로 막 오르는 6·3 대선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4-07 22:51:59 수정 : 2025-04-07 22:51: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과천=뉴스1) 김명섭 기자 = 7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21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안내가 고지돼 있다. 2025.4.7/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실시되는 대통령 선거일이 사실상 6월 3일로 확정돼 조기 대선의 막이 올랐다. 정부는 오늘 국무회의에서 대선 일정을 의결한다. 거대 양당은 대선 모드로 전환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선(先) 내란 종식·후(後) 개헌론을 앞세워 총력전 결의를 다졌다. 국민의힘은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며 민주당보다 한발 빠르게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에 돌입했다. 이제 대선까지 남은 50여일에 백척간두 대한민국의 운명이 달렸다.

국민은 내우외환 위기 속에서 3년 3개월 만에 다시 대선을 치러야 하는 참담한 상황이다. 양당은 그런데도 사생 결단 정쟁에만 몰두하니 앞날이 더 걱정이다. 원내 제1당의 박찬대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에 대선 후보 불공천을 압박했고, 전현희 최고위원은 정당 해산 심판을 운운하며 으름장을 놨다. 제2당의 권성동 원내대표는 여당이었던 자신들의 과오는 묻어둔 채 민주당 책임만 거론한다.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라는 꼴들이다. 양당 모두 이번 사태의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남 탓 비난을 당장 중단하고 자성하고, 자숙해야 한다. 대선에서 정쟁 아닌 정책으로 승부를 겨뤄야 정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민주당은 민심의 역풍이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 윤 전 대통령 파면 당시 헌법재판소의 따끔한 질책을 잊지 말라. 탄핵제도의 정치적 압박 수단화, 일방적 법안 처리와 대통령의 거부권 반복이 12·3 비상계엄 사태의 한 배경으로 적시됐다. 국정 협치를 외면하고 기고만장한 태도로 정치적 전리품만 챙기려 한다면 성난 민심의 회초리가 비껴가지 않을 것이다.

국민의힘은 여전히 윤심(윤 전 대통령 마음)에 기대 탄핵 찬성파 축출론이나 주장하니 한심하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줄곧 다수 국민과 건전 보수층의 기대를 저버린 게 국민의힘이다. 쇄신(碎身)의 노력으로 쇄신(刷新)에 나서도 시원찮을 판국이다. 어제 발표된 여론조사(리얼미터)에서 정권 교체 선호 56.9, 정권 연장 선호 37.0가 나왔다. 정권 교체 여론은 대전·세종·충청(50.0→54.7), 대구·경북(46.9→50.3)에서 일주일 전보다 상승했다. TK에서도 과반이 됐다. 중도층에선 65.7%나 된다. 국민의힘은 대선을 포기하는가. 헌정과 법치를 부정한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로 건전한 보수 체제를 복원하는 결단이 생존의 첫걸음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리아 ‘상큼 발랄’
  • 있지 리아 ‘상큼 발랄’
  • 장원영 '상큼 발랄'
  • 지예은 '상큼 발랄 볼하트'
  • 고윤정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