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연극하는 이영애, 이전과 확실히 다를 겁니다”

입력 : 2025-04-08 21:28:37 수정 : 2025-04-08 21:28: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헤다 가블러’로 32년 만의 무대

헨리크 입센 원작 주인공 맡아
자유 갈망하는 여성 심리 다뤄
“여성으로 다양한 감정 갖게 돼
20·30대 땐 인물 공감 못했을 것”
“오랫동안 입센 번역을 하신 대학원 지도교수님께 ‘(연극을)하게 되면 헤다 가블러를 하고 싶다’고 한 얘기가 이렇게 결과로 나왔습니다. 그래서 많이 힘든 면도 있는데 너무 너무 너무 재미있어요.”


외면은 우아하지만, 내면에는 숨겨진 불안과 욕망, 파괴적인 본성을 가진 여주인공 ‘헤다’를 연기하기 위해 32년 만에 연극 무대에 오르는 배우 이영애(54)가 “이제까지 영화나 드라마에서 봤던 ‘이영애’하고 연극에서는 확실히 다를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연극 ‘헤다 가블러’로 32년 만에 연극 무대에 서는 배우 이영애가 8일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제작발표회에서 모처럼 취재진 앞에 선 이영애는 “결혼하고, 아이도 크고 이제 사춘기가 됐다”며 “여성으로서 다양한 감정을 갖게 됐고, 제가 20대, 30대에 (이 작품을) 만났다면 ‘헤다’에 공감할 수 있었을까 싶었다”고 말했다.

‘현대 연극의 아버지’로 통하는 헨리크 입센 원작 ‘헤다 가블러’는 사회적 제약과 억압 속에서 자유를 갈망하는 여성의 심리를 다루는 작품이다. 귀족 출신 헤다가 학문적 성취 외에 관심 없는 조지 테스만과 결혼한 후, 단조로운 일상에 권태를 느끼던 중 옛 연인 에일레트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1891년 독일 뮌헨에서 세계 초연된 후 인간의 복잡한 심리와 예측할 수 없는 전개로 그동안 세계 많은 무대에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특히 이번 작품은 ‘헤다 가블러’를 현대적으로 각색해서 로렌스 올리비에상 최우수 리바이벌상(2006)을 수상한 연출가 리처드 이어 각색본을 사용한다. 이영애는 “저에게 공감하는 부분도 찾지만,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인물이길 바랐다”며 “그렇게 보이도록 의논하며 함께 얘길 나누며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드라마 ‘대장금’, 영화 ‘친절한 금자씨’, ‘봄날은 간다’ 등에서 특별한 존재감을 선보여온 배우 이영애의 마지막 연극 출연작은 1993년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된 김상수 작·연출 ‘짜장면’이다. 이영애는 “그때 첫 작품이었고, 어렸지만 오랫동안 큰 기억에 남고 배우로서 20대, 30대를 보내며 항상 연극에 대한 생각을 갖고 있었다”며 “그동안 기회는 있었지만, 타이밍상 잡지 못했는데,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연출 전인철은 “한 달 정도 이영애 배우와 작업했는데, 놀랄 정도로 성실하고, 하루하루 시간 안에 기복이 있는 걸 보지 못했다”며 “많은 것을 본인의 작업 속에 최선을 다하려 집중하는 것에 놀라웠다”고 말했다. 그는 ‘이영애 표 헤다’에 대해 “(이영애가) 귀여운 면도 많고 해서, 그런 부분을 무대에서 보여주고 싶었다”며 “안하무인 격의 헤다를 많은 사람이 갖고 있는데,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면서 그 안에서 살아가려 하지만 그게 몹시 힘든 상황으로 돼 가는 인물을 생각하고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비슷한 시기 같은 작품으로 국립극단과 경쟁하게 된 상황에 대해 전인철은 “그 얘길 듣고 부담감이 생겼는데,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져주고,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예상도 하고 그러는 거 같더라”며 “제가 생각한 거 보다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 잘된 일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LG아트센터 대극장에서 5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공연.


박성준 선임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
  • 장원영 '상큼 발랄'
  • 지예은 '상큼 발랄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