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기 나아지면 다시 연락할게요” “3번째 해고됐어요” 무슨 일? [수민이가 궁금해요]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4-13 06:39:47 수정 : 2025-04-13 06:50:53

인쇄 메일 url 공유 - +

극심한 내수 부진이 고용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심화하고 있다. 내수 의존도가 높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가 5분기 연속 줄고 있다.

 

서울 양천구 해누리타운에서 열린 ‘2025 양천구 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구인광고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통계청 고용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552만7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만5000명 줄었다. 작년 1분기(-5000명)를 시작으로 5분기 연속 감소세다.

 

감소 폭은 작년 2분기 2000명에서, 3분기 4만5000명, 4분기 9만명까지 확대했다가 올해 1분기 축소됐지만 여전히 마이너스 흐름이다. 이는 코로나19 확산기인 2020년 1분기(-12만6000명)∼ 2021년 4분기(-10만5000명)이후 가장 긴 기간 내림세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은 소비와 밀접한 서비스업이다. 경기 불안, 고물가, 누적된 이자 부담 등으로 소비가 위축되며 업종 전반의 매출 하락과 고용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내수 회복 지연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도 위축되고 있다.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올해 1분기 자영업자 수는 552만3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만4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9000명), 2분기(-10만1000명), 3분기(-2만6000명) 내리 줄다가 작년 4분기 1만명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지난 1분기 특히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수가 2만5000명 줄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만1000명 늘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경기 불황으로 직원을 해고하고 ‘나홀로 사장님’으로 돌아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폐업하거나 임금근로자로 취업했을 수도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도소매업과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고용은 경기 후행지표기 때문에 내수 부진이 반영돼 향후 더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

 

소비 위축이 지속되면 고용이 줄고, 고용 감소는 다시 가계소득 위축과 소비 위축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월 경제전망에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내수 회복도 완만한 수준에 그치면서 올해 취업자 수는 전년(16만명)보다 낮은 10만명 내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3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액이 두 달 연속 1조원을 넘어서고, 실업급여를 받아간 사람이 70여만 명에 달하는 등 고용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도 지난달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제조업 고용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위축, 내수 회복 지연 등으로 당분간 건설업과 대면서비스업도 부진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