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기술 확보 투자 병행
두산로보틱스가 기존 협동로봇에 인공지능(AI)·휴머노이드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도약을 꾀한다.
두산로보틱스는 분당두산타워에서 김민표 대표를 비롯한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대표는 하드웨어에 편재됐던 사업을 ‘지능형 로봇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휴머노이드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를 병행한다고 선언했다.
지능형 로봇 솔루션은 협동로봇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AI 기능을 통합한 형태다. 간단하게 설치한 후 바로 운영할 수 있는 플러그앤플레이 제품이다. AI를 통해 작업 경로와 순서를 최적화하고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류, 용접, 커피 제조 등 개별 작업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지능형 로봇 솔루션에는 특화 AI(ANI)가 적용된다. 두산로보틱스는 제조 분야의 자동화 관련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연내 출시하고 단계적으로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두산로보틱스는 또 ‘실용적 휴머노이드’ 사업 진출을 위해 우수인력을 조기 확보한다. 이달 21일부터 로봇 연구개발(R&D),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AI, 소프트웨어, 사용자경험(UX), 품질, 영업 등 전 분야에 걸쳐 대대적으로 경력사원 공개채용을 진행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AI·소프트웨어와 휴머노이드 R&D 조직을 신설한다.
두산로보틱스가 지향하는 실용적 휴머노이드는 사용자가 요구한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로봇이다. 이를 위해 팔 여러 개를 동시에 제어해서 복잡·정교한 작업을 하는 ‘멀티암 동시제어 기술’, 센서·알고리즘으로 안전한 작업을 돕는 ‘충돌 회피기술’, 로봇이 스스로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여러 단계의 복잡한 작업을 하는 ‘롱 호라이즌 태스크 기술’ 등을 선제적으로 개발한다.
김 대표는 “협동로봇 시장을 넘어 성장 잠재력이 큰 지능형 로봇시장의 탑 티어가 되기 위해 기술 혁신으로 제품 초격차를 이끌어 내고, 고객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며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기술 개발 및 내재화, 전략적 파트너십, 인수합병(M&A) 기회 확보 등 가용 자원을 총 동원할 뿐만 아니라 실행 중심의 조직 문화를 정착시키자”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