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건설현장 하도급 업체들 떼인 돈 매년 수십억... 신고에도 받은 돈 절반 불과

입력 : 2025-04-15 09:37:37 수정 : 2025-04-15 09:37: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문진석 의원 “전자대금거래시스템 확대, 하도급 대금 미지급 실태조사 등 대책 마련 절실”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부터 시작돼 수년째 이어진 건설경기 악화로 건설사 줄도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건설대금 미지급 사례가 매년 수십억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금을 지급받지 못한 하청업체들의 신고에도 실제 하도급 대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구가 많아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시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건설대금을 받지 못해 신고한 건수는 최근 6년간 총 389건, 총 미지급금은 254억 5897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급 규모는 2020년 78건에서 2023년에는 94건으로 증가했으며 가세를 겪은 이후, 2024년 64건 등 하도급 공사대금 미지급 추세가 계속 유지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미지급 사례를 신고하더라도 실제 하도급 대금을 돌려받은 사례는 절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신고 건수 중 실제 하도급 대금을 돌려준 ‘이행완료’건수는 전체의 50.3%인 196건에 불과했다.

 

대금을 지급하라는 국토부의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거나 사안이 위중해 영업정지를 받은 사례도 최근 6년 간 210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진석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2020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총 303억 7290만 원의 하도급 대금을 미지급해 영업정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35개사는 2번 이상 하도급 대금 미지급으로 영업정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진석 의원은 “김진태발 레고랜드 사태와 윤석열 정권의 실정으로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고, 중대형 건설사까지 파산하며 하도급 업체도 위기에 빠지는 연쇄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원청이 파산하더라도 하도급 대금은 지급될 수 있도록 국토부가 현장 실태조사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정모 기자 race121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