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反明만으로 연대하자는 ‘빅텐트’ 논의, 허상 아닌가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4-17 00:21:58 수정 : 2025-04-17 00:21:58

인쇄 메일 url 공유 - +

6·3 대통령 선거를 40여일 앞두고 주요 정당의 경선 후보 등록이 그제 마감된 가운데 이른바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논의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혐의로 재판을 받는 등 심각한 사법 리스크에 직면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경선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것을 막으려면 친명(친이재명)계를 제외한 모든 정치 세력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논리다. 문제는 이렇다 할 정책이나 비전도 없이 그저 ‘이재명에 반대한다면 한데 모이자’는 주장에 과연 설득력이 있냐 하는 점이다.

 

현재로선 국민의힘이 빅텐트 실현에 상당한 공을 들이는 듯하다. 차기 대권을 노리는 당내 경선 후보들 지지율이 이 후보에 한참 못 미치며 ‘도토리 키재기’라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지경이니 어쩔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국민의힘을 제외한 다른 정당의 대선 주자들이 ‘반명’이란 기치 아래 빅텐트 안에 들어갈 확률은 무척 낮아 보인다. 이 후보에게 유리한 민주당 경선 규칙에 반발하며 경선 참여를 거부한 김두관 전 의원은 무소속 출마까지 검토한다면서도 “국민의힘 후보와 함께하는 빅텐트 참가 가능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보수 성향의 개혁신당 대선 후보 이준석 의원조차 “빅텐트는 실패할뿐더러 명분도 없다”고 꼬집지 않았나.

 

빅텐트론은 역대 대선 때마다 꾸준히 제기됐으나 이제껏 성공한 사례가 없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이 빅텐트론에 매달리는 것은 이 후보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 차출론과도 맞닿아 있다. 국민의힘 당내 경선에 불참한 한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가능성을 열어 놓으려면 빅텐트론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어제 국민의힘 김문수 경선 후보 캠프에 합류한 박수영 의원이 “한 권한대행과 김 후보 두 분의 시너지가 결합돼야만 이 후보를 이길 수 있지 않겠냐”고 말한 것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민의힘은 실현 가능성도 희박한 빅텐트론을 그만 접는 것이 마땅하다. 미국과의 통상 협상과 6·3 대선의 공정한 관리에 매진해야 할 한 권한대행의 대선 후보 차출도 포기함이 옳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은 물론 윤석열 전 대통령과도 완전히 차별화한 정책과 비전으로 승부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유권자들 사이에 ‘이재명에 반대한다’는 것 말고는 아무런 대안도 없는 무능한 세력으로 찍혀 정치권에서 퇴출되더라도 전혀 이상할 게 없을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