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접근 차단 방안 등도 논의
젠슨 황 訪中 … “계속 협력 희망”
미국이 기술수준을 한껏 끌어올린 중국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제재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16일(현지시간) 발표한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 조사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미국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profound threat)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딥시크 앱의 실상은 중국으로 데이터가 유출되게 하고 이용자들의 보안 취약점을 만들어내며, 중국 법에 따라 정보를 은밀히 검열하고 조작하는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 모델이 중국으로 수출이 금지된 미국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미국 기술을 훔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딥시크가 수집한 광범위한 이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가 소유한 통신업체 ‘차이나 모바일’과 연결된 백엔드 인프라를 통해 전송한다”고 지적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딥시크의 미국 기술 구매를 막기 위한 징벌 조치를 고려하고 있으며 미국인들의 딥시크 접근 차단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첨단기술 기반인 반도체의 중국 수출도 바짝 옥죄고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은 지난주 중국 고객사들에 보낸 이메일에서 중국으로 수출하는 칩의 일부를 정부의 지침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앞서 엔비디아가 자사 H20 칩에 대해 같은 조치를 취했다는 사실이 전해진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 확장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조치로 인한 기업 손실이 불가피한 가운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개월 만에 중국을 찾아 “계속해서 협력하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17일 관영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베이징을 찾아 런훙빈(任鴻斌) CCPIT 회장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엔비디아는 앞으로 계속해서 규제 요구에 맞는 제품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데 힘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흔들림 없이 중국 시장에 서비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