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춤했던 문과 수험생이 올해 이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열풍에 이과 선호 현상이 강화된 가운데 상위권의 이과 쏠림에 부담을 느낀 중위권들이 문과로 전향했다는 추정이 나온다.
종로학원은 지난달 26일 실시된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채점 결과를 분석해 20일 발표했다. 3월 학평은 교육청이 주관하는 시험으로 고3 수험생이 올해 처음 치른 전국 단위 모의고사다.

분석 결과 수학에서 확률과통계 응시생이 59.5%로 나타났다. 전년도 53.9%에서 5.6%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확률과통계는 문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과목이다.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미적분과 기하는 46.1%에서 40.5%로 5.6%포인트 줄었다. 수학에서 미적분·기하 응시생은 문·이과 통합형 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39.5%에서 2023학년도 43.2%, 2024~2025학년도 46.1%로 증가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하락했다.
국어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과목인 언어와매체 응시생이 지난해 37.4%에서 올해 33.8%로 3.6%포인트 줄었다. 화법과매체 응시생은 지난해 62.6%에서 올해 66.2%로 늘었다.
탐구에선 사회탐구 응시율이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응시율은 64.6%로 지난해 55.1%보다 9.5%포인트 올랐다. 과학탐구 응시 비율은 지난해 44.9%에서 올해 35.4%로 하락했다. 사회탐구 응시율이 늘어난 데에는 문과 학생이 증가한 것 외에도, 일부 이과 학생들이 사회탐구 과목으로 바꾸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응시생 수로도 봐도 사회탐구 응시생 수가 크게 늘었다. 올해 고3 학생 수는 4만 7733명 늘었는데 9개 과목의 사회탐구 응시생은 9만 8976명 증가했다. 과학탐구 응시생은 3만 8979명 감소했다.
입시계는 중위권, 중하위권 이과생이 문과로 전향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후 고교에서 문·이과 구분은 없지만 통상 자연계열 진학을 준비해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 과학탐구를 응시하는 학생은 이과, 수학 확률과통계, 사회탐구를 응시하는 학생은 문과로 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문과 학생이 증가한 원인은 최근 의대 선호현상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이과에 집중돼 있고 서울권 소재 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문과보다 높아 부담을 느낀 이과 중위권·중하위권 학생들이 문과로 전향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이어 “수험생이 많아진 문과 학생들이 수능에서 다소 유리할 수 있는 상황이고, 이과 학생들은 응시생 수 감소로 불리해진 구도”라며 “향후 재수생이 가세하면서 과탐 응시생 수가 작년보다 더 크게 줄면, 과탐이 상당한 입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