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주행·무인 배차 키오스크 등
시스템 디지털 혁신 협약식 개최
일본 택시 단체가 한국의 자율주행 택시 추진, 무인 배차 키오스크 등 스마트 기술을 참고하기 위해 카카오모빌리티 본사를 찾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일본 택시 단체 ‘크로스 택시(X Taxi)’ 대표단이 17일 경기 판교 카카오모빌리티 본사를 방문해 ‘스마트 택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디지털 혁신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크로스 택시는 일본 택시업계의 혁신을 목표로 2020년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도쿄를 비롯해 홋카이도, 지바현, 가나가와현, 오키나와현 등 일본 전역의 100여개 택시 회사 주요 관계자가 가입돼 있다.
이번 방문은 한국 택시 호출 서비스의 운영 과정에 관심이 많은 크로스 택시 측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일본 택시업계는 고령화로 운전기사는 물론 정보기술(IT)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크로스 택시는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디지털 전환(DX)이 필수라고 판단하고 있다.
기요카와 스스무 크로스 택시 대표 등 일본 택시업계 관계자 10여명은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카카오T 택시 사업 모델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회사 관리 소프트웨어와 운영 효율화를 위한 무인 배차 키오스크, 일본보다 한국에 먼저 도입된 택시 애플리케이션(앱) 미터기 등 DX 사례와 서비스 운영 노하우를 설명했다.
일본 택시 관계자들은 특히 자율주행 기술에 주목했다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전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강남·세종·판교·대구·제주 등에서 자율주행 실증을 진행했다. 서울시 자율주행 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 사업자에 선정돼 ‘서울 자율차’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양측은 모빌리티 분야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택시회사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배차와 수요 예측, 외국인 친화 승차 체험 제공 등에서 서로 협력하는 것이 골자다.
기요카와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운영 과정과 앞으로 다가올 자율주행 생태계까지도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일본 택시 서비스에도 이러한 운영 모델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되면 디지털 전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