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청와대 보수해 들어갈 것”
김동연 “취임 다음 날부터 세종에”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첫 TV토론에서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대통령실 이전 문제와 개헌 문제 등을 두고 이재명 후보와 차별화에 나섰다. 사실상 독주를 이어가는 이 후보를 양김이 각각 견제하는 양상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 후보는 “용산 대통령실은 단 하루도 쓸 수 없다고 생각하는데, 당선된다면 어디서 집무를 시작하시겠냐”고 물은 김경수 후보 질문에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다 보수를 마친 뒤 청와대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보안 문제가 매우 심각해서 대책이 있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당장 딴 데로 가기가 마땅치 않고 혈세를 들여서 또 미리 준비할 수도 없다”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세종시가 마지막 종착지라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김동연 후보는 “저는 대통령에 취임하면 바로 다음 날부터 세종에서 근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후보는 개헌을 두고서도 공세를 이어갔다. 김동연 후보는 20대 대선 당시, 이 후보와 선거 연대를 하며 개헌 약속을 했지만 이 후보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동연 후보는 “분권형 대통령제, 임기 단축, 선거법 개정도 합의를 봤지만 이 후보는 당대표를 두 번 연임하면서도 합의를 지키려는 노력이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지 못한 점과 ‘국민투표법’이 개정되지 않은 점을 들어 “약속을 지킬 수 없었다”고 하자 김동연 후보는 “각자 위치에서 노력을 기울이는 게 정치인의 도리”라고 받아쳤다.
증세 문제를 두고서도 이 후보와 양김의 시각 차이가 드러났다. 김동연 후보는 “공약에 많은 재원이 소요됨에도 포퓰리즘적 감세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김경수 후보는 “이 후보가 말한 조세 재정이나 세출 조정만으로는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정부의 잘못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금 단계에서 필요한 재원은 지출 조정을 통해 마련하는 게 합당하겠다”고 답했다.
원전 정책과 관련, 김동연 후보는 “원자력을 축소해나가며 신재생 에너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후보는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기조와는 거리를 두는 쪽으로 정책을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수 후보는 “원전 축소 속도 조절론을 제시했다.
민주당은 경선 기간 중 총 세 차례의 토론회를 진행한다. 두 번째 토론은 23일 오후 4시 유튜브 채널 ‘오마이뉴스TV’에서, 세 번째 토론은 25일 오후 10시 TV조선에서 방송될 예정이다. 두 번째 토론회 역시 대선 국면 주요 정책 이슈를 중심으로 후보 간 차별화와 공약 검증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