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 희망 최다
협치강화·국회의원 특권축소도 주문

우리 국민이 차기 대통령에게 가장 바라는 것은 개헌이나 복지개선보다는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일보와 비영리 공공조사 네트워크 공공의창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 뷰에 의뢰한 ‘제21대 대선 매니페스토(정책공약) 특집 여론조사’(15∼16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실시) 결과, 차기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응답자 중 최다인 57.3%가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이어 개헌 등 정치개혁 21.9%, 저출산·고령화 대응 및 복지개선 11.2%, 남북 관계 및 외교안보 안정화 5.9%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진보층에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선택 비율이 3분의 2를 넘은 68.4%에 달해 보수(47.4%)나 중도(59.1%)보다 오히려 월등히 높다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이념보다는 실용, 분배보다는 성장, 공리공론보단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하는 경제중시 정책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6·3 대통령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대선·경선 후보가 과연 국민의 어떤 목소리를 경청하고, 어디에 공약의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알 수 있다.
한국 경제는 성장 동력 약화 속에서 글로벌 관세전쟁이 겹치는 내우외환의 위기다. 한국은행은 올해부터 5년간 평균 잠재성장률을 1.8%로 예상하며 2040년대 ‘0%대 성장률’ 추락을 경고한 바 있다. 대기업 중심의 고용도 한계에 봉착하면서 청년 실업 문제 등을 완화하기 위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이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경제와 일자리가 이번 대선이나 차기 정권의 화두일 수밖에 없다. 6·3 표심을 노린다는 더불어민주당의 내란심판론이나, 국민의힘의 반(反)이재명 구호는 얼마나 공허하고 민심과 동떨어진 것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거대 양당 체제의 변화와 차기 대통령의 포용도 주문했다. 차기 대통령이 정치 분야에서 노력해야 할 사안으로 가장 많은 37.4%가 정치적 양극화 해소 및 협치 강화를 꼽았다. 국회의원 특권 축소(37%)도 적지 않고, 대통령제 개편을 포함한 헌법개정(14.6%), 비례대표 확대 등 선거제 개편(4.3%)이 뒤를 이었다. 정치권에서 제왕적 대통령제 운운하며 개헌론을 거론하나, 다수 국민은 오히려 거대 양당 체제와 국회의원에게 극한 대립과 소모적 논쟁의 책임을 묻고 있다. 국민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정치권이 고민해야 할 지점이 어디인지를 보여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