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치인 말만 번지르르… 마음 줄 후보가 없어유” [6·3 대선 바로미터 중원 르포]

, 대선

입력 : 2025-04-22 19:07:49 수정 : 2025-04-22 23:06:0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세계일보 여론조사 양당 지지율 동률
‘어대명’ 기류 포착 속 신중론 일어

“나라 생각하는 정치인 하나도 없어
투표할지도 아직 결정 안 해” 토로

“희망이 없어요. 누가 나와도 마찬가지예요. 정치하는 사람한테 정이 뚝 떨어졌어요.”

 

충북 청주시 흥덕구에서 조명가게를 운영하는 최재봉(74)씨는 연신 고개를 가로저었다. 최씨는 “윤석열은 정치를 오래 한 사람이 아니었잖아요. 법과 원칙을 내세워서 때 묻지 않은 새로운 정치를 할 수 있나 해서 기대를 많이 하고 찍었다고…”라며 말끝을 흐렸다.

선거의 ‘바로미터’로 통하는 충청권의 6·3 조기 대선 표심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듯 보인다. 사진은 21일 대전 동구 중앙시장에서 만난 시민 모습. 대전=강은선 기자

최씨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재판이 이어진 올해 초,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도 참석한 보수진영 지지자다. 하지만 지금은 국민의힘도, 더불어민주당도 “다 똑같다. 다 싫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 의원들도 전부 자기 앞 밥상만 생각해요. 나라 생각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어요”라며 “어떻게 보면 딱하기도 하죠. 민주당같이 체계적으로 대항하고 단합되는 세력이 없고, 전부 개인주의고 뿔뿔이예요”라고 덧붙였다. 그런 그도 ‘대통령이 누가 될 것으로 보이냐’는 질문에는 체념한 듯 “대통령은 이재명이 주서 먹겄지”라고 답했다.

 

22일 ‘6·3 조기대선’이 6주 앞으로 다가오며 ‘민심의 바로미터’이자 ‘캐스팅보트’로 불리는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충청은 ‘묻지마’ 식으로 표를 몰아주기보다 선거마다 지지 정당을 달리하는 중립 지대로 꼽힌다.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정부 모두 충청의 표심을 얻어 정권을 잡았다.

이번 대선에서도 이 같은 기류는 이어지고 있다. 세계일보가 10∼11일 한국갤럽을 통해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대전·세종·충청 응답자의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35%)과 국민의힘(35%)이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3위는 ‘없다’가 16%를 차지했다.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비율은 37%로,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36%)는 응답과 엇비슷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20∼21일 만난 충청 시민들도 “민주당도, 국민의힘도 싫다”며 아직 명확한 답을 내리지 않았다는 유권자가 많았다. 충남 천안의 직장인 김형민(56)씨는 “국민의힘은 자당 소속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고 탄핵됐는데 자성과 국민에 대한 사과 없이 오직 정권 재창출에만 혈안이 돼 있는 듯하고, 이재명 독주체제로 가는 더불어민주당 경선도 그렇게 곱게 보이지만은 않네요”라고 말했다.

 

세종 조치원시장서 만난 상인들도 속내를 쉽게 드러내지 않았다. 조치원시장 정육점 사장 백모(75)씨는 “누굴 뽑을지 결정하지 않았어요. 말만 번지르르하게 경제를 살리겠다고 하고, 매번 결론은 ‘뽑아봤자’더라고요”라며 고개를 저었다. 시장에서 과일을 고르던 한 손님은 “민주당이나 국민의힘이나 나온 후보 모두 맘에 안 들어요. 이젠 ‘충청권 출신이다’, 이런 말도 믿지 않으려고요”라고 했다.

 

충청은 후보 선택을 빨리하지도 않고 사전 내색도 잘 하지 않아 표심을 예측하기 힘든 지역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충청에서도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목소리보다는 민주당 지지가 두드러졌다. 이번 대선이 윤 전 대통령의 ‘내란 단죄’에서 비롯한 만큼 투표로 이번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대전역을 찾은 김상기(42)씨는 “사과를 하지 않는 국민의힘을 어떻게 뽑겠어요. 민주당에 힘을 실어줄 겁니다”라고 말했다. 세종시청 근처에서 만난 양준상(44)씨도 “국민의힘이 해놓은 짓을 보면 당을 해체해야 하는 수준인데, 후보를 낸 게 뻔뻔하기 그지없어요”라며 “당연히 민주당에 기회를 줘야죠”라고 했다.

 

충청권 청년세대 표심도 엇비슷하다. 대전에 사는 한세라(27)씨는 “그동안 투표를 하지 않았었는데 이번엔 무조건 민주당을 찍을 겁니다”라며 “정치인을 잘못 뽑은 대가는 참혹했지만 (저는 아예) 투표를 안 했다는 점에서 죄책감이 더 크더라고요”라고 말했다. 송지은(35)씨도 “이재명 후보에 한 표 주려고 합니다. 이번 투표는 확실한 ‘심판’”이라고 말했다.

 

경기 불황을 이유로 드는 시민도 있었다. 대전 중앙시장에서 국수 가게를 운영하는 이모씨는 “지난 대선에서 기세가 좋아 윤석열을 뽑았는데 지금 여기 보세요. 이 시간에 중앙시장에 사람이 없어요”라며 “이번엔 민주당을 찍을 겁니다”라고 말했다.

 

충청권의 민주당 지지율 상승은 여론조사에서도 드러난다.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달 2주차 대전·세종·충청의 ‘민주당 등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 선호’는 53.1%, ‘국민의힘의 정권 연장 선호’가 40.0%를 기록했다. 3주차에는 각각 이 비율이 각각 60.2%, 33.2%로 민주당 지지가 급증했다.

 

보수층 사이에서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기류에 대한 반감이 포착됐다. “어차피 뭐 그렇찮여, 어대명이라는데.” 충북 음성군 주민 임모(60)씨도 “이번 대선은 어차피 정해진 거 아녀”라고 반문하며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하는 말이 딱 맞어”라고 했다.

 

다만 이들도 쉽사리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말하지는 않았다. “투표하면 뭐할껴. 국민의힘은 쳐다보기도 싫고 민주당은 이재명이라는데….” 대전 중앙시장에서 국수를 먹던 김대명(65)씨가 TV를 보면서 투덜거렸다. 그는 “계엄이다 뭐다 해서 나라 꼴이 이게 뭐냐”며 “그런데도 국민의힘은 10명 가까이 후보들이 나와서 서로 물어뜯는다. 민주당은 어차피 이재명일 텐데, 모두 맘에 안 든다”고 말했다.

 

대안을 찾는 목소리도 있었다. 청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60대 최모씨는 “이번에 대통령을 잘 뽑아야 돼”라며 “한덕수가 돼야지. 사람이 점잖고 똑똑한 것 같아”라고 했다.

 

민주당이 국회에 이어 대권까지 거머쥘 경우 예상되는 ‘권력의 쏠림’을 우려하는 민심도 있었다. 천안시청 공무원 출신의 70대 이모씨는 “인사청문회나 예산편성에서 계속 정부 발목을 잡고 탄핵을 남발한 민주당이 집권하면 또 다른 형태의 독재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씨는 “무소불위 국회를 견제할 수 있는 후보는 아무래도 국민의힘 후보가 아니겠는가”라며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이 있는 가정의 달(5월)은 이재명 후보에게는 (확고부동의 지지율이 급락할 수 있는) ‘마(魔)의 5월’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청주·대전·세종·천안=조희연·윤교근·강은선·김정모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