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은 재택근무하는 날이 일주일에 단 0.5일에 그쳐 전세계 40개국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한국은 집단주의가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집단주의는 개인보다 집단의 이익이나 목표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상 또는 경향을 의미한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유지와 발전을 중요하게 여기며,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보다는 집단의 규범과 조화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앞선 21일(현지시간) 영국 시사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졸자 1만6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들 응답자는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해 2023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국가별로 보면 이중 한국인은 약 0.5일로 나타나 재택근무를 가장 적게 했다.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고,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다. 이어 독일과 인도가 각각 1.5일 남짓, 나이지리아 1.5일, 브라질 1.4일, 호주 1.3일 순이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로 한국보다 많았다.
이처럼 나라에 따라 재택근무 비중이 격차를 보이는 것은 국가별로 산업 분야, 코로나19 대응, 재정 수준 등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적 차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즉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달라졌다는 것인데, 연구진은 기존 분석 모델을 적용해 40개국의 재택근무 호응도를 조사했더니 개인주의적 사회일수록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편안하게 받아들였다.
임원들도 통제를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연구진이 집단주의 정도와 재택근무 비중 간 연관성을 좌표로 찍었더니 집단주의가 강할수록 재택근무를 덜 하는 추세가 뚜렷했다.
연구진은 재택근무로 통근 부담이 줄어들면서 원거리까지 주택 수요를 넓힌다는 점에서 호재가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주에서는 2019년 이후 대도시 20곳의 집값 상승률이 13%로 나타난 반면 교외에서는 30∼50% 치솟은 것으로 분석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