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아가야, 어서 와!”…혼인 증가 타고, 2월 출생아 수 11년 만에 반등

입력 : 2025-04-23 21:37:30 수정 : 2025-04-23 21:37:2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생명의 통계’, 11년 만에 증가세 전환
월별 출생아 수·혼인건수 동시 상승 중

혼인 증가 등 영향으로 2월 출생아 수가 1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월별 출생아 수와 혼인건수는 각각 8개월째, 11개월째 늘고 있다.

 

23일 통계청의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는 2만35명으로 1년 전(1만9413명)보다 3.2%(622명) 늘었다. 월별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째 늘고 있다. 2월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늘어난 것은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증가 폭은 2012년 2월(2449명)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다.

 

2월 출생아 수가 1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뉴스1

지난해 10월(13.4%)부터 11월(14.3%), 12월(11.6%), 올해 1월(11.6%)까지 4개월 연속 10%대 증가율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3.2%)은 다소 줄었다.

 

2월 합계출산율 역시 1년 전보다 0.05명 증가했지만 0.82명에 그치며, 지난 1월(0.88명)보다 낮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부산 등 9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늘었고 광주·세종 등 8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2월 혼인은 1만9370건으로 전년 대비 2422건(14.3%) 증가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17년 이후 8년 만에 최대 증가율이다. 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 관계자는 “출생아 수는 코로나로 미루던 결혼을 치른 커플들이 2022년말, 2023년 초 결혼 이후 본격적으로 아이를 낳기 시작하면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산 선행지표인 혼인은 1만9370건으로 전년 대비 2422건(14.3%) 증가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17년 이후 8년 만에 최대 증가율이다. 지난해 4월 이후로 11개월 연속 전년 대비 혼인이 늘고 있다. 전국 모든 시도에서 혼인이 늘었다. 이혼 건수는 734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건(-0.1%) 감소했다.

 

사망자 수는 3만283명으로 전년 대비 401명(1.3%) 증가했다. 인구는 1만248명 줄어들어 2019년 4월부터 64개월 연속 자연감소세를 이어갔다.

 

23일 강원 강릉시 초당동의 한 공원에 선생님과 함께 나들이 나온 아이들의 모습이 정겹다. 연합뉴스

한편 이날 통계청의 ‘3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4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감소했다. 동월 기준으로 1974년 3월(50만1000명)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주택거래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동이 잦은 젊은 층이 줄어들면서 거주지 이동이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