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복현 “MBK, 상당기간 전부터 회생 준비… 구체적 증거 확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4-24 15:55:47 수정 : 2025-04-24 15:55: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홈플러스와 그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채권 사기발행 정황을 입증할 증거 자료를 포착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6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한 뒤 기업회생을 신청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전에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MBK, 삼부토건 등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검찰은 지난 21일 ‘홈플러스 사태’ 관련자들을 패스트트랙(긴급 조치) 형식으로 검찰에 통보했다. 지난달 4일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사전에 알고도 6000억원가량의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면 ‘사기적 부정거래’로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 원장은 “최소 다음 달 말까지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해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MBK 검사 및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살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MBK파트너스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그는 “채무자인 홈플러스 대주주 측의 채무자 회사에 대한 추가 출자 또는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며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그동안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채무자인 홈플러스 대주주 측의 채무자 회사에 대한 추가 출자 또는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라며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그동안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MBK가 금감원에 채권자인 금융기관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는 “MBK 측에서 절차는 회생 절차로 가고, 당국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이제 공유하는 이런 형태인 판단을 계속 내리는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날을 세웠다. 

 

이 원장은 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이 제기된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 관련 자료를 검찰에 이관했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당국 단계에서는 의혹이 제기된 특정 인물들의 부정거래 연관성을 확인해 고발할 만한 내용이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라면서도 “검찰에서 추가 조사 필요성이 확인될 경우 조사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