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훼손" "지역경제 도움" 주장 엇갈려 마찰 일듯
국립공원 지리산을 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케이블카 유치에 나서고 있어 환경단체 등과의 마찰이 예상된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09/05/20/20090520000702_0.jpg)
이들 지자체가 케이블카 유치에 나선 이유는 최근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기준이 완화됐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지난 1일자로 입법예고한 자연공원법 및 하위법령 개정안에서 종전 2㎞인 국립공원 로프웨이 설치 허용기준을 오는 9월부터 5㎞로 늘리기로 했다. 또 공원지구 내 설치 건축물 높이도 현행 9m에서 15m로 상향조정해 케이블카 정류장 설치를 용이하게 만들었다.
이들이 적극적으로 케이블카 설치에 뛰어드는 이유는 지난해 4월 통영관광개발공사가 설치, 운영하고 있는 미륵산케이블카가 1년 만에 탑승객 100만명을 돌파하고 연간 관광수익이 750여원에 달해 지역 경제활성화에 큰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청군과 구례군은 2007년과 2008년 이미 지리산 케이블카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남원시는 지난 1월 연구기관에 타당성 용역조사를 의뢰했고, 함양군은 1억5000만원의 타당성 조사 예산을 편성했다.
케이블카 설치에 가장 적극적인 산청군은 현재 케이블카를 타면 중간에 내리지 않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벙법을 구상하고 있다. 산청군의 한 관계자는 “케이블카를 설치할 경우 환경이 훼손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은 기우”라며 “오히려 훼손 등산로가 복구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산청군은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연평균 45만명 정도의 관광객이 이곳을 이용,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구례군 역시 노고단을 통해 지리산을 올라가는 도로로 연간 45만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고, 이로 인한 환경오염 등을 고려할 때 케이블카가 필요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함양군과 남원시는 아직 추진위가 구성되지 않아 구체적인 입장 표명은 하지 않고 있지만, 케이블카 설치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현재 용역을 의뢰했거나 할 계획으로 있어 향후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각 지자체들이 지리산 정상을 잇는 케이블카 설치에 나설 경우 설비 중복투자와 환경훼손 등 환경단체들의 반발도 거세질 것으로 예상이 돼 사업 추진은 진통이 뒤따를 전망이다.
창원=안원준 기자 am33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