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혁명’이라고 불린 모바일투표는 처음 도입된 2007년 대선경선에서 흥행 장치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민심과 당심을 조화시키고 젊은층 관심을 끌 수 있다는 기대를 받았다. 직접민주주의 요소를 가미해 “문화인류사적 진화”(문성근 전 대표대행)라는 칭송이 이어졌다. 지난해 이해찬, 문재인 등 장외의 친노(친노무현)계가 정당혁신단체 ‘혁신과 통합’을 만들어 합당하면서 모바일투표가 전면에 등장했다.
그러나 2012년 대선 경선 모바일투표는 혁신 없는 기교의 한계와 관리 부실 문제로 존폐 논란에 휩싸였다.
민주통합당 18대 대통령 후보자 선출을 위해 16일 경기도 고양시 고양체육관에서 열린 서울 경선장에서 한 후보 측 지지자들이 불공정 논란을 낳은 모바일투표를 비판하는 펼침막을 들어보이고 있다. 허정호 기자 |
이번 선거에서 당의 명부관리는 엉망이었다. 수의계약 입찰, 명부관리업체 P&C 대표 형의 문재인 캠프 특보 합류, 문 후보 측의 전화투표 독려팀 운영 등 각종 논란 거리가 튀어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P&C는 정규직원이 2, 3명에 불과한, 제1야당의 대선경선을 치르기엔 영세한 회사였다”며 혀를 내둘렀다.
결국 비문 진영의 제기로 시작된 첫 검증에서 P&C 관계자 개인 PC에 명부가 엑셀파일 형태로 저장됐고, 명부에 접근한 흔적을 남기는 프로그램(접속로그히스토리) 설치를 아예 하지 않은 사실 등이 드러났다. 개인정보보호법상 안전조치의무 위반 소지가 드러난 것이다. 그러나 손 후보 측이 이 사실을 사전 공개했다는 이유로 당 선관위는 검증을 중단했고, 첫 검증이 마지막 검증이 됐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