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페라리 4억6000만원·벤츠 4억3000만원…외제차 수리비가 '기가막혀'

입력 : 2013-10-13 20:14:13 수정 : 2013-10-14 09:53: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최근 3년간 고액수리비 43건 평균 1억6000만원 달해
지난해 11월 세계적 슈퍼카 페라리(2012년식) 1대가 교통사고로 파손돼 정비공장에서 수리를 받았다. 부품 값과 공임 등을 합한 수리비만 무려 4억6000만원. 2010년 9월 벤츠 1대(2008년식)의 수리비 견적도 4억3000만원에 달했다. 외제차 수리비가 ‘부르는 게 값’이라는 비난을 듣는 이유였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새누리당) 의원이 보험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2012년 3년간 교통사고 피해 외제차 수리비(과실상계 전 기준)가 사고 사망자 평균 지급 보험금(2011년 기준) 1억300만원보다 많이 나온 사례가 43건이나 됐다.

43건의 차 수리비는 총 69억1300만원으로 1건당 평균 수리비는 1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사람 목숨 값보다 차 수리비가 훨씬 비싼 셈이다. 수리비가 2억원이 넘은 사고도 3년간 8건 있었다. 차종별로는 페라리가 4대, 벤츠가 3대, BMW가 1대였다. 수리비 1억원 이상은 59건으로 이 가운데 벤츠가 16대로 가장 많았고 페라리가 11대, 포르셰가 8대로 뒤를 이었다. BMW와 아우디는 3대씩이었다.

최근 3년간 외제차 수리비 총액은 2조851억원으로 2조원이 넘는다. 2010년 5842억원, 2011년 6739억원, 지난해 8270억원으로 2년 만에 42%나 급증했다. 물론 ‘과실상계’ 이전에 보험사에 청구한 수리비 기준이기 때문에 실제 보험금 지급액은 적을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외제차 대수와 지급 보험금이 매년 가파르게 늘면서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보험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 의원은 “도로 위의 고급 외제차는 일반 국민에게 시한폭탄이나 마찬가지”라며 “정부가 수입차 부품가격과 공임 공개에 늑장 대응한 것이 터무니없는 외제차 수리비의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운영과장은 “지금은 순정부품만 쓰기 때문에 수입차 부품 값이 비싼데 대체부품 인증제가 도입되면 수리비와 보험료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외제차 평균 수리비는 부품 값만 233만원으로 국산차(54만원)의 4.3배, 공임(54만5000원)은 국산(30만원)의 1.8배다.

국토부는 수입차의 과도한 수리비를 낮추기 위해 7일부터 11일까지 지방자치단체, 교통안전공단, 손해보험협회와 합동으로 서울과 경기, 대구, 부산 지역 수입차 정비업체 16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했다.

윤 과장은 “자동차관리법의 절차를 준수했는지 등을 검토해 시정조치를 내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
  • 이영애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