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동에서 북쪽으로 1.8㎞ 떨어진 곳에는 북한의 선전마을 기정동이 자리 잡고 있다. 걸어서 10분 거리다. 6·25전쟁 전에는 주민들끼리 왕래가 잦았지만, 전쟁 이후 두 마을은 분단을 상징하는 곳이 됐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으로 남북 양측이 DMZ 내에 민간인 마을을 한 곳씩 둔다는 합의에 따라 일주일 후인 8월3일 대성동과 기정동이 조성됐다. 두 마을은 각각 ‘자유의 마을’과 ‘평화의 마을’로 불린다.
김선영 외교안보부 기자 |
대성동 주민 49가구 209명은 국방과 납세의 의무가 면제된다. 유엔군사령부의 보호를 받으며, 대부분 벼농사를 짓고 산다. 주민으로 인정받으려면 1년에 8개월 이상 거주해야 한다. 매일 자정부터 일출 30분 전까지 통행금지도 있다. 주민들은 농사지으러 나갈 때마다 공동경비구역(JSA) 경비대대 소속 군인들과 동행한다.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면 영농활동에 제한을 받기도 한다. 주인을 알 수 없는 땅이어서 집과 농지의 소유권도 없다. 하지만 대성동 주민들은 이런 고충에도 부모 세대부터 살아온 삶의 터전이라 떠날 수 없다고 했다.
지난 5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3년4개월 만에 전격 합의됐다는 소식에 대성동 주민들이 생각났다. 남북관계의 온도차를 온몸으로 느끼는 주민들의 반응이 궁금했다. 전화로 연결된 김 이장은 “합의에 이르기까지 진통이 있을 거라고 들었는데 빨리 합의가 돼 좋다”고 반겼다. 그는 기정동 주민에 대해서도 “우리는 한 동포인데, 이렇게 떨어져 산다는 게 좀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개선돼 대성동 마을 주민의 불안이 조금은 사그라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김선영 외교안보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