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 역량 강화 급선무 우리나라는 전세계가 인정하는 IT(정보기술)강국이지만 유독 빅데이터 활용에서는 약소국에 불과하다. 국내 기업 500곳 가운데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곳은 40곳이 안 될 정도다. 빅데이터 활용의 대척점인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 일어난 대형 정보유출 사건들도 빅데이터 약소국으로 내려앉게 된 배경으로 지목된다. 해당 산업을 지원할 정책안이나 법·제도적 근거도 미흡하다. 경쟁 국가나 기업과 기술 격차가 더 벌어지기 전에 정보처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0개 기업 중 2개 기업이 빅데이터 활용의 걸림돌로 ‘데이터 분석 역량과 경험 부족’을 들었고, ‘예산 부족’을 호소하는 기업도 19.4%였다. ‘투자한 만큼 수익이 날지 불안하다’(15.1%)거나 ‘정보 보호나 안정성이 우려된다’(17.5%)는 기업도 꽤 많았다.
국내 빅데이터 논의는 경제적 효과가 예측된 매켄지연구소 보고서가 공개된 2011년 5월 이후 활발했다. 3년 전에도 우리나라는 IT강국이었던 까닭에 빅데이터 산업은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둘 것으로 예측됐다.
당시 정부는 공공분야 빅데이터 활용만으로 10조7000억원의 경제효과를 예측했다. 하지만 현재 대기업의 빅데이터 기술조차 임시 테스트 수준에 머물 정도로 발전이 더디다.
일부 기업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저장해 활용하고는 있지만, 빅데이터 투자에 대한 수익성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분석과 활용 면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 3.0 추진 등 정부의 빅데이터 활용도 증가 추세지만 시장이 너무 작고, 수익으로 연결되는 모델 개발에 본격적으로 투자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스페인 패션업체 ‘자라’가 방대한 판매·재고 데이터 등을 분석해 상품 수요와 가격 등을 예측함으로써 매출을 확대하고, 미국 통신사 ‘T모바일’이 3000만명의 가입자 데이터를 분석해 탈퇴 징후를 보이는 고객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사 이탈 고객을 절반 이상 줄일 때 우리 기업들은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투자 자체를 꺼렸던 셈이다.
빅데이터 분석전문가, 데이터 관리자 등 고급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2017년까지 빅데이터 인력 1만4000명이 필요하다고 예상했는데, 삼성경제연구소는 2012년 5월 현재 국내 전문인력은 100명 안팎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