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일 라인가우 지역에서 생산된 슐로스 폴라즈의 가장 드라이한 카비넷 리슬링 |
■포도즙 당도에 따른 리슬링 구분
독일 와인중 프래디카츠바인(QmP·Qualitätswein mit Prädikat) 등급에 속한 고급 리슬링은 당도에 따라 6가지로 구분된다. 카비넷(Kabinett)이 드라이한 와인에 가까운 가장 덜 단 와인이다. 이어 늦게 수확한 포도로 만든 슈패트레제(Spatlese)→선별된 성숙한 포도송이로 만든 아우스레제(Auslese)→과숙한 포도알만 골라 만든 베렌아우스레제(Beerenauslese·BA)→언 상태의 포도송이를 착즙해 만든 아이스바인(Eiswein))→ 초과 완숙해 건포도에 가까운 포도송이에서 한 알씩 골라 따서 만든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Trockenbeereenauslese·TBA) 순서로 당도가 높다.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는 주로 귀부균에 걸린 포도송이를 골라 사용한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다. 이런 당도 구분이 리슬링 완제품의 당도가 아니라 양조전 포도즙의 당도를 뜻하는 것이어서 반드시 이 순서대로 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양조과정에서 발효가 많이 되면 당도는 낮아지고 알코올도수는 높아진다. 반대로 발효가 적게 되면 당도는 높고 알코올도수는 낮아진다. 따라서 베렌아우스레제 등급이 슈패트레제나 아우스레제 보다 더 드라이한 리슬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최근에는 리슬링 생산자들이 드라이한 양조를 더 선호하는 추세라고 한다. 이 때문에 당도 등급을 토대로 알코올 도수를 참고하면 더 정확하다. 알코올 도수가 비슷하다면 윗등급이 당도가 더 높을 수 있다. 프래디카츠바인(QmP)의 당도 등급은 포도즙 당도에 대한 얘기지만 리슬링 맛의 힌트를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요즘에는 카비넷 트로켄(Kabinett Troken)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트로켄은 드라이하다는 뜻이어서 리슬링의 당도 정도를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참고로 프래디카츠바인(QmP) 와인의 당도 등급은 포도즙의 밀도를 측정하는 웩슬레(Oechsle = °Oe)라는 수치를 사용한다.
![]() |
품질과 당도에 따른 독일 와인 등급 체계 |
독일 와인의 등급은 좀 복잡하다. 독일 와인은 타펠바인(Tafelwein)과 란트바인(Landwein)이 저렴한 테이블급 와인입니다. 이어 크발리태츠바인(QbA ·Qualitä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프래디카츠바인(QmP·Qualitätswein mit Prädikat) 순서로 고급 품질 와인이다. 독일 기본 리슬링은 보통 크발리테이츠바인(QbA)에 속한다. 프래디카츠바인(QmP) 등급에 속한 고급 리슬링은 앞서 언급한대로 양조전 포도즙 당도에 따라 카비넷~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 6가지로 분류된다.
또 하나 알아야할 고급 리슬링 등급이있다. 에어스테스 게벡스(Erstes Gewächs)다. 이는 1999년부터 제정된 최고급 드라이 와인 등급이다. 유명 와인산지 라인가우(Rheingau) 지역의 최고급 포도밭에서 재배되는 리슬링과 피노누아만 사용하고 엄격한 조건을 갖춘 선택된 와인에만 부여한다.
![]() |
1910년에 만들어진 독일 와인 우수생산자연합 VDP 엠블럼 |
![]() |
병목에 독수리 마크가 새겨진 발타자 레스( Balthasar Ress) VDP 리슬링 |
![]() |
VDP 와인 포도밭 등급 |
![]() |
독수리 마크와 함께 VDP. GROSS LAGE 로 표기된 최고등급 포도밭 리슬링 |
최현태 기자 htcho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