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내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단지 중 안전진단을 진행하지 않은 가구가 가장 많은 곳은 양천구로 2만4358가구에 이른다. 이어 노원구 8761가구, 강동구 8458가구, 송파구 8263가구, 영등포구 8126가구 등 순이었다.
문제는 최근 아파트값 상승의 진원지인 서울 강남권은 이러한 규제를 대부분 비켜 간다는 데 있다. 아직 안전진단 신청조차 못한 준공 30년 아파트들이 상당수 비강남권에 몰려 있어 강남·비강남권 아파트의 양극화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실제 국토부가 공개한 서울에서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단지 10만3822가구 가운데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물량은 2만6025가구로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이미 안전진단을 통과한 강남권 단지의 가격 폭등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집값 상승을 주도해온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단지나 대치동 은마아파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등은 이미 안전진단을 통과했고 목동이나 상계 등 중층 아파트들은 아직 안전진단을 신청한 곳이 없다”며 “이들 지역의 재건축이 지연됨에 따라 강남·비강남권의 주거환경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 의도대로 재건축 시장의 열기가 식으면서 서울 전체 집값의 안정 가능성이 커질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비강남·준강남 지역 부동산 시장의 타격도 신경 써야 할 변수다. 당장 사업 추진에 발목을 잡힌 재건축단지 주민들 사이에선 강한 불만이 쏟아지는 모습이다.
서울 내 일부 지역에선 긴급회의를 열고 정부의 안전진단 강화 방안 시행 전 안전진단을 신속히 마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기천·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