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가공무원 시험 부정행위는 2014년 65건에서 2016년 72건, 지난해 79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9월까지 46건의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공무원은 어느 직종보다도 직업적 양심과 도덕성이 중요한데 일부 공시생이 시험 단계부터 윤리 의식을 저버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공무원 시험의 부정행위 증가는 공무원을 ‘안정적 고용과 소득이 보장되는 직업’으로만 여기는 현상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바늘구멍 수준의 낮은 합격률이 공시생을 부정행위로 이끄는 유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지난 13일 필기시험이 치러진 7급 지방공무원시험은 평균 경쟁률이 97.9대 1을 기록했다. 올해 7급 국가공무원시험도 평균 경쟁률이 47.6대 1로 나타났다. 자주 치르는 시험이 아닌 데다 준비 비용이 큰 만큼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 양심을 저버리는 행위를 서슴지 않는 응시생이 나올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공무원시험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어떤 시험보다 엄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윤상철 한신대 교수(사회학)는 “도덕성이 결여된 공직자가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이 너무나 크다”며 “부정행위 땐 공무원시험 응시 자체를 불허하는 등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제상 경희대 교수(행정학)도 “공직자는 도덕적 잣대가 가장 엄격하게 적용돼야 하는 직업”이라며 “부정행위자 처벌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청윤 기자 pro-ver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