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코로나·휴가철 맞물린 ‘물폭탄’, 재난 대비 허점 없어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0-08-02 22:35:00 수정 : 2020-08-02 22:34: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본격적인 휴가철에 접어든 어제 서울·경기·강원·충청 등 곳곳에 호우 특보가 발효됐다. 경기 남부와 충북 북부 등에는 주말 밤사이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100~200㎜ 이상의 ‘물폭탄’이 쏟아졌다. 경기 안성 등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산사태가 일어나고, 이천 등에서는 저수지 둑 일부가 무너지거나 범람 위기에 놓이면서 주민들이 대피했다. 인명 피해도 줄을 이었다. 충북 음성과 단양, 충주 등에선 급류에 휩쓸려 소방대원과 주민들이 잇따라 실종됐다. 충북선·태백선·영동선·중앙선은 토사 유입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중부고속도로 등도 일부 구간이 유실됐다.

 

전국에서 피해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만 남동쪽 해상에서 다량의 수증기를 품은 4호 태풍 ‘하구핏’까지 북상 중이어서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기상청은 4일까지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수증기가 부딪치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최고 300㎜의 비가 내릴 것이라며 대비를 당부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어제 범정부 대응체계를 비상 3단계로 상향했고 행정안전부는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다.

 

이번주 내내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장맛비가 이어진다고 한다. 가뜩이나 집중호우로 지반이 약해진 상황에서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여름휴가철까지 겹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인 대전이 물난리에 빠졌다는 TV 보도 화면을 배경으로 같은 당 의원들과 파안대소하는 사진이 공개돼 물의를 빚었다. 그는 ‘악마의 편집’이라며 언론 탓만 하다가 비난이 빗발치자 마지못해 사과했다. 재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

 

재난은 대부분 천재(天災)가 아닌 인재(人災)다. 더구나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다반사여서 더 불안하다. 그렇더라도 철저히 대비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소방당국 등 재해 관련 기관은 침수위험지역과 산사태 우려지역, 재해위험지역, 지하차도·공사장 등에 대한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시민들도 기상청 예보를 예의주시하면서 주변의 위험 요인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집의 취약한 부분은 미리 손을 보고 낡은 지붕이나 간판 등은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피해 최소화는 우리 모두가 어떻게 재난에 대처하는지에 달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화사 ‘상큼 발랄 미소’
  • (여자)아이들 소연 ‘매력적인 미모’
  • 하츠투하츠 유하 '신나는 무대'
  • 하츠투하츠 이안 '매력적인 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