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접종자도 인센티브 가능성
백신 중복접종 등 오류 총 13건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1/05/17/20210517515733.jpg)
정부가 해외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긴급사용승인을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자의 입국 시 자가격리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1차 접종만 마친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17일 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 승인된 백신과 함께 WHO에서 긴급사용승인한 백신까지 입국 시 자가격리 면제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해당 국가에서 승인된 백신으로 할 경우 범위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도 비슷한 기준을 적용하려는 것으로 안다”며 “그 외의 백신에 대해서는 좀 더 전문가들의 의견 등을 수렴해서 판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WHO의 긴급사용 승인 허가를 받은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시노팜 총 5종이다.
각국의 예방접종증명서를 어떻게 상호 인정할 것인가는 추가 협상과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 본부장은 “현재 외교부를 중심으로 각국이 어느 정도 엄밀하게 (접종 증명) 절차를 확인하는지 등을 확인해 국가별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백신 인정 범위 논란은 전날 정치권 일각에서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으면 괌 입국을 못 하는 등 차별을 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지 못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전 세계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가장 많다”고 일축했다. 손 반장은 접종률 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과 관련해 “(국내) 방역수칙 제한·조정은 대부분 ‘완전 접종’ 개념인 2차 접종을 마친 자를 기준으로 한다”면서도 “일부 1차 접종자에게 이를 적용할 수 있는지도 함께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에서 80대 치매 노인이 화이자 백신을 30분 사이 두 번 접종을 받는 등 접종 오류가 잇따라 발생해 방역 당국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방대본은 지금까지 13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오류가 있었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재발 방지를 위해 대상자 접종력과 이름·주민번호를 확인한 뒤 접종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