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업계에서는 오는 8월을 주목하고 있다. 최근 전세시장이 안정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임대차3법 시행 2년이 도래하는 8월에 전세 시장이 다시 한번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임대차3법은 지난 2020년 7월31일 시행됐다.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을 1회 보장하고 재계약 때는 인상률 5%를 상한으로 묶는 것을 골자로 한다.
세입자들에게 추가 2년의 주거 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해 안정적으로 4년을 살 수 있게 하자는 게 법의 취지였다. 문제는 그동안 치솟은 전셋값이다. A씨 사례처럼 추가 2년이 지나 4년 계약이 만료되는 세입자들은 새로운 계약을 맺을 때 전셋값 폭등의 날벼락을 맞게 된 상황이다.
KB국민은행 2월 통계에 따르면 서울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6억7419만원을 기록했다. 강북권 평균 전셋값도 5억5692만원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7년 4월 4억2439만원이었던 서울 전셋값은 임대차법 시행 전인 2020년 6월(4억9148만원)까지 약 3년 동안은 6709만원 올라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그런데 임대차법 시행 이후 1년 8개월 동안 무려 1억8271만원이 올랐다. 서민들이 감당하기 버거운 수준의 폭등이다.
집주인들은 신규계약을 맺을 때 그동안 못 올린 전셋값 상승분을 한꺼번에 반영해 신규 물건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오른 전세가격을 대출로 감당하지 못하는 세입자는 월세로 내몰리거나 외곽으로 밀려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급등하는 매매·전세가격을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늘어나면서 서울에서 월세 거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전월세 전체 거래량 중 월세가 조금이라도 낀 계약이 4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설상가상으로 올해 서울 입주물량도 줄어든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서울의 올해 입주물량은 1만8148가구로 작년보다 14%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또다른 전셋값 상승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월세 거래가 늘고 가격을 뛰게 만든 데는 임대차법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서민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전·월세 집에서 살 수 있었는데 임대차법이 시장을 뒤흔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5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임대차3법'이 민생현안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올 하반기 전세대란 우려까지 나오고 있어 실수요자를 위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