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할구역 일대 집회·시위 증가
기존 700명서 750명으로 증원
강력팀 증설 조직정비… 위상 ‘업’
대통령 집무실 ‘용산 시대’를 맞아 서울 용산경찰서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 용산서는 대통령실 이전과 함께 근무 인원을 대폭 늘린 데 이어 최근에는 수사 조직을 새로 꾸리는 등 지역 치안 수요에도 적극 대응하는 모습이다.
1일 세계일보 취재 결과, 용산경찰서는 지난달 말 형사과 산하에 강력6팀을 신설하고 4명을 증원했다. 이에 따라 용산경찰서에서는 기존 5개 팀에 더해 총 6개 팀이 강력범죄 수사를 담당하게 된다.
용산경찰서 관계자는 “우리 서는 서울 시내에서 경찰 1인당 처리 사건 수가 가장 많은 곳 중 하나”라며 “지역 치안 수요에 따라 수사 조직을 늘리고 인원을 확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용산경찰서 관할에서 일어난 살인, 강도, 강간·추행, 절도, 폭력 등 5대 범죄 발생 건수는 2020년 기준 2969건에 달한다.
대통령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관할구역 일대에서 집회·시위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4월까지 월평균 40건 수준에 불과했던 용산경찰서 집회·시위 건수는 대통령실 이전 이후인 5월 81건, 6월 97건까지 폭증했다. 집회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용산경찰서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전에 정보관 인력 7명을 공모해 채용한 바 있다.
집회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 충돌 등 관련 형사 사건에도 대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강력팀 추가 신설에는 충분히 근거가 있다는 것이 경찰 안팎의 반응이다. 기존에도 치안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대통령실까지 들어서면서 더욱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찰 내부에서는 “용산경찰서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청와대 집무실 인근 치안을 담당하면서 ‘경비 1번지’로 불렸던 종로경찰서 대신 용산경찰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는 평가다. 실제로 용산서는 지난 5월 대통령실 이전 직전에도 근무 인원을 대폭 늘린 바 있다. 지난해 700명 수준이었던 용산서 근무 인원은 현재 750여명까지 늘어났다.
당시 인력 증원은 주로 대통령실 관련 기능에 집중됐다. 대통령이 이동할 때 교통 통제와 신호 개방 등 교통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교통과에 28명, 관내 집회·시위 신고 및 관리와 정보활동을 하는 공공안녕정보외사과에 8명, 집회·시위 현장을 관리하는 경비과에 7명이 증원됐다. 이들 중 상당수는 종로경찰서와 청와대의 경비·경호를 담당했던 경찰 부대인 101경비단 등에서 모집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