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카카오 먹통… 국민 일상이 멈췄다

입력 : 2022-10-16 17:52:17 수정 : 2022-10-16 22:11: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여파

서버 전원 차단 서비스 대부분 마비
카카오맵·카카오페이 등 장애 발생
尹 대통령 “부처, 신속한 복구 노력”
대통령실 “데이터 인프라 국민 생활 직결
네트워크망 교란, 안보에 치명적 문제”

‘국민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이 주말 내내 먹통이 되면서 전국이 일시적인 ‘마비 상태’에 빠졌다. 지난 15일 카카오가 임대해 사용하는 SK C&C의 데이터센터의 화재로 빚어진 카카오 먹통 사태는 이틀째인 16일에도 복구가 늦어지면서 국민들이 메시지 송수신은 물론 송금, 택시 호출 등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겪었다. 국내 대표 IT(정보기술) 플랫폼 업체인 카카오가 ‘서버 이중화’ 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에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남부경찰청 과학수사대와 소방당국은 이날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캠퍼스 A동 지하 3층 전기실을 중심으로 1차 감식을 진행한 뒤 이번 화재가 전기실 내 배터리 주변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시작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경찰은 17일 오전 11시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당국, 전기안전공사 등 유관 기관과 합동감식을 추가로 진행하기로 했다.

데이터센터 화재현장 감식 16일 경기 성남 분당구 삼평동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현장에서 소방과 경찰 관계자들이 감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성남=남제현 선임기자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33분 SK 판교캠퍼스에서 화재가 발생해 8시간여 만인 오후 11시46분쯤 진화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이날 불로 서버 서비스 전원이 차단되면서 카카오·다음과 네이버 서비스가 크고 작은 장애를 일으켰다.

특히 카카오톡은 장애 발생 후 10시간을 넘겨서야 일부 기능이 복구됐고, 완전 복구까지는 얼마나 걸릴지 정확하게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카카오 측은 밝혔다.

카카오톡 서비스가 2010년 출시된 이래 최장 시간 장애로 주말 내내 ‘먹통’이 되자 시민들의 불편이 속출했다. 직장인 이모(30)씨는 “카카오톡으로 지인들과 연락이 잘 안 돼 불편한 수준이 아니라 일상에 지장을 받을 정도였다”고 토로했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기프티콘을 사용하려고 왔다가 서비스 장애로 발길을 돌리는 손님들이 많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16일 카카오톡 선물하기 페이지에 지난 15일부터 서비스가 점검 중이라는 안내가 공지돼 있다. 카카오톡 캡처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신속한 서비스 복구를 위해 정부 부처도 노력을 다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지시했다며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카카오, 네이버 등의 디지털 부가 서비스 중단으로 우리 국민께서 겪고 계신 불편과 피해에 대해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며 “정확한 원인 파악은 물론 트윈 데이터센터 설치(이원화) 등을 포함한 사고 예방 방안과 사고 발생 시 보고·조치 제도 마련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 중심의 상황실을 장관 주재로 격상해 지휘하기를 바란다”고 지시했다.

김 수석은 브리핑을 통해 “초연결 사회에서 데이터 통신 인프라는 국가 안보와 국민 생활에 직결된다”며 “네트워크망 교란은 민생에 상당한 피해 줄 뿐 아니라 유사시 국가 안보에도 치명적 문제를 야기한다”고 밝혔다.

16일 경기 과천의 한 카카오T 주차장 무인 정산기에 시스템 장애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벌어진 것은 백업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자연재해라든지 해킹이라든지 문제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니까 비즈니스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는 데이터센터같이 중요한 시설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더 두는 ‘이원화’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법으로 강제화하는 것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백업 주기, 이원화되는 서버의 개수, 거리 등 모든 것이 다 비용이다”며 “국내 기업만 ‘사회적 책임’을 묻게 되면 외국 기업과의 ‘역차별’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우상규·이현미·곽은산·장한서 기자, 성남=오상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