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처럼 인파가 위험 수위까지 몰리면 인공지능(AI)·드론이 실시간으로 감지해 위기경보를 보내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인파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과학 기반의 재난 관리를 하겠다고 9일 밝혔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특정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운집했는지 빅데이터, AI 기술을 접목해 분석하고 인파 집중도에 따라 위기단계를 정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유관기관들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인파 관리는 밀집도를 선제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2/11/09/20221109521455.jpg)
정부는 교통 정보, 모바일 기지국 정보, 드론 영상 분석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인파가 얼마나 몰렸는지 분석한 후 이 정보를 단계별로 각 기관과 공유하는 기술을 2024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특정 지역에 많은 사람이 몰렸을 때 AI 기술을 접목한 폐쇄회로(CC)TV와 드론으로 ‘군중 난류’ 위험을 판단해 모여 있는 사람들의 휴대전화에 경보가 울리는 식이다. 행안부는 인파가 밀집했을 때 ‘1㎡당 6명 이상’을 위험한 기준으로 삼을 방침이다.
이미 이태원 참사 당시 서울시는 KT 기지국의 휴대전화 신호 데이터로 특정 지역의 인구 밀집도를 추정하는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 시스템을 갖춰 놓았다. 도시데이터로 서울 50곳의 혼잡도를 누구나 바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이 재난·위기 관리와 연계돼 있지 않다 보니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한편 정부는 이태원 압사와 같은 참사 재발을 막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연말까지 재난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재난안전관리체계 개편 TF’(가칭)를 구성하고 국가재난안전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꿔가겠다고 말했다. 이 TF는 행안부·경찰 등 각 기관이 별도로 추진 중인 재난 대응 개선 작업을 총괄 관리하게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