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이 길어질수록 부산지역 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란 관측이 나와 주목된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일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부산지역 주요 수·출입 제조기업과 건설업, 운수업체를 중심으로 실시한 지역 경제계 파급 영향 긴급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모니터링 결과, 철강·건설·레미콘 등의 업종에서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되거나 공사 현장이 셧다운 되는 등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업종의 경우 대체 운송 수단을 찾기 어렵고, 별도의 자구책 마련도 힘들어 파업기간이 길어질수록 피해가 가중될 전망이다.
레미콘 제조업체인 A사는 주원료인 시멘트 공급 차질로 피해 우려가 컸다. 평상시 보유하고 있던 2~3일분의 재고가 이미 소진돼 공장 가동 중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건설업체인 B사는 레미콘 등 건자재 수급 중단으로 공사를 중단한 현장이 발생했고,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모든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A사와 B사 모두 화물연대 비노조원 차량을 통해 화물운송을 시도했으나, 화물연대의 견제와 강압으로 인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해상공사업체인 C사도 하루 시멘트 사용량이 상당한 수준이지만, 재고 보유는 1일치에 불과해 공사 중단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철강 업체인 D사는 파업이 시작된 지난주부터 물류가 중단됐고, 제품보관 장소도 마땅치 않아 생산을 중단했다.
반면 원자재·조립금속·정밀기계·섬유 등의 업종은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업종도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물류수송 차질로 인한 생산과 납기를 맞추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 및 자동차 업종은 아직까지 큰 문제가 없지만, 다음주부터 원자재 반입 등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생산량 감소와 납기 지연 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들 업체들은 추가비용을 들여 대체 운송수단이나 비노조원 차량을 미리 섭외하고, 자체차량 이용 확대 및 수출입 일정 조정 등을 통해 화물연대 파업에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대해서는 개별 기업의 상황에 따라 온도 차가 뚜렷했다. 대다수 기업들은 정부의 강경대응이 파업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 해주길 희망했다.
그러나 이미 생산 차질이 본격화된 기업들은 업무복귀명령 등 강경책을 써서라도 조속하게 물류 정상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품 출하가 중단된 철강업체 F사는 시멘트 분야뿐만 아니라 철강 분야까지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