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 경제 ‘혹한기’… 여야 경제전문가 “가계부채 관리 등 시급” [한국경제 해법, 국회에 묻는다]

입력 : 2022-12-11 18:48:51 수정 : 2022-12-16 11:19:3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회 ‘경제통’ 7人의 위기 진단·해법은

“위기 지나면 반등… 비상계획 마련을”
“기업 생존 위해 ‘모태펀드’ 등 대비를”

국회 ‘경제통’들은 내년도 경제 전망이 올해보다 더 어둡다고 내다봤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경기는 침체되는 ‘퍼펙트 스톰’(복합 경제위기)의 찬 바람이 매섭기 때문이다. 정부 대응에 따라 내년 위기 뒤 반등의 계기가 생길 것이란 희망찬 관측도 있었고, 새로운 경제 양극화에 대비한 정치적 해법이 시급하다는 당부도 나왔다.

 

사진=뉴시스

11일 세계일보는 국회 내 최고 경제 전문가로 꼽히는 의원 7명을 인터뷰했다. 이들은 세계은행, 증권사·은행, 경제연구소, 세계 유수 대학 등에서 갈고닦은 실력을 바탕으로 우리 경제에 불어 닥칠 위험에 대한 진단과 의회 차원의 해법을 제시했다.

내년 위기 전망에는 여야 이견이 없었다. 통계청장 출신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은 “코로나19의 긴 터널에서 벗어나는 듯했지만, 내년에는 더 힘들어질 일들이 있다”며 “앞으로 최소 1, 2년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뱅크를 설립한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은 “내년 화두는 ‘구조조정’”이라며 “금리가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될 것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가 힘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위기론 속에 희망론도 있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공부한 금융 책사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은 “위기론 없이 위기가 오면 무섭지만, 위기론이 팽배할 때 위기가 오면 오히려 약하게 지나간다”며 “경제 반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위태로운 지점으론 ‘가계부채’가 지목됐다. 미래에셋증권 사장을 지낸 민주당 홍성국 의원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 등 주요국들은 가계부채를 줄였지만 한국은 계속 늘었다”며 “가계 이자 부담도 40조원에서 80조원이 됐다. 전체 소비의 10%까지 달한다”고 경고했다.

‘기업 리스크’도 녹록지 않았다. 삼성경제연구소 출신 창업가인 민주당 홍정민 의원은 “외국계 자본이 국내 기업을 사가는 부분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중심의 모태펀드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중견기업가 출신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은 “기업들은 돈 구하기 어렵다고 아우성”이라고 꼬집었다.

세계은행 출신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은 “양극화로 인해 누군가는 계속 보복소비를 하고 반대편에선 높아진 이자에 구매력이 줄어든 중산층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경제심리 관리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조병욱·김주영·박지원·배민영·김현우·김병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