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고려 요소 남아있어 불확실성 여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통방) 결정회의가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장은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분위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달 정책금리(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며 한은의 인상 압력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다만 긴축(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요소도 남아 있어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13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5.50%를 유지할 가능성은 90%로 예상됐다. 일주일 전(87%)보다 동결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앞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3.2%로 시장 전망치(3.3%)를 밑돈 것으로 발표되면서 시장이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는 것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다는 시각도 확산하고 있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CPI 발표를 통해 연준의 긴축이 7월로 종료됐을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오는 24일 통방 회의를 앞둔 한은에도 숨을 돌릴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한·미 기준금리 차가 2%포인트로 역대 최대 폭으로 벌어져 있지만, 추가로 금리 차가 벌어지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우세해지면서 한은도 동결을 유지할 근거가 생겨났다는 분석이다.
한은의 동결 결정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요인도 있다. 우선 최근 낮은 수준을 보이던 물가상승률이 8월 이후 변곡점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해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데다, 국제유가도 다시 상승하며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4%에서 3.5%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최근 급증하는 가계부채도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도 수차례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한 우려를 표해 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가) 예상 밖으로 급격히 늘어나면 금리뿐 아니라 거시건전성 규제를 강화하는 등 여러 옵션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